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불교의 무아설과 융의 자기실현 비교고찰

이용수 134

영문명
Anatman Theory of Buddhism and Jung s Self Realizzation
발행기관
한국종교교육학회
저자명
鄭賢淑(Chung, Hyun-Sook)
간행물 정보
『종교교육학연구』제15권, 321~33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2.10.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불교의 무아설을 인도의 전통적 아트만 사상과 비교하고, 초기불교, 부파불교, 유식불교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상호 배타적으로 보이는 무아설과 윤회설의 조화를 이루기 위하여 업의 개념이 도입되고, 업의 상속을 가능케 하는 기반으로 아라야식이 핵심개념으로 들어온다. 무아설을 상세히 입증하기 위하여 5위 100법의 존재론적 분류와 함께 8식의 인식체계가 도입된다.아라야식을 정점으로 하는 8식의 인식체계는 정신분석학의 의식-무의식 체계와 심층심리학으로서 비교대상이며, 이중 무아설과 진여의 관계는 자아와 자기실현의 관계와 유사점과 차이점이 비교된다.

영문 초록

Against the immutable substance Atman of Upanishad we compared Buddhist theory of nonsubstantiality(Anatman), and studied the Non-ego-entity concept through the early buddhism, the Abhidharma, and the Yogacara Buddhism. The paradoxical situation between the denial of a permanent self and the acceptance of the doctrine of rebirth had been resolved by the concept of Karma, and its continuation via the omniscient Alaya-vijinana.The nonsubstantiality doctrine was elaborated by the ontological categories of five-level hundred dharma, and the epistemological system of eight conciousness. The Alaya-conciousness system of Yogacara Buddhism is compared with the collective unconciousness of the analytic psychology, especially in terms of the non-ego-entity and Suchness of the former, and the self and Self-realization of the latter.

목차

Ⅰ. 서론
Ⅱ. 우파니샤드의 아트만 사상
Ⅲ. 초기 불교 및 부파 불교의 존재론적 무아 사상
Ⅳ. 유식불교의 인식론적 무아설
Ⅴ. 분석심리학에서의 자아와 자기
Ⅵ. 불교의 무아설과 융의 자기실현
Ⅶ.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鄭賢淑(Chung, Hyun-Sook). (2002).불교의 무아설과 융의 자기실현 비교고찰. 종교교육학연구, 15 , 321-337

MLA

鄭賢淑(Chung, Hyun-Sook). "불교의 무아설과 융의 자기실현 비교고찰." 종교교육학연구, 15.(2002): 321-3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