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증산사상에서의 근대성 해석 문제

이용수 17

영문명
Interpretation of Modernity in Jeung-San Thoughts:With Respect to Collapse of Hierarchical System and Redistribution of Wealth
발행기관
한국종교교육학회
저자명
윤기봉(Yun, Gibong)
간행물 정보
『종교교육학연구』제34권, 143~159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근대성이라는 용어는 필연적으로 혁신이라는 용어를 동반한다. 서부유럽에서 근대화의 일환으로 전개된 종교개혁, 산업혁명, 시민혁명 등을 살펴보면, 중세의 권위로부터 탈피를 통해 새로움을 추구하는 ‘혁신’의 내용들을 보여주고 있다. 종교에서도 근대성에서 중요하게 부각되던 ‘혁신’을 요구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근대성을 향한 혁신의 중심에는 기성의 지배층이 아닌 피지배층이었던 민중이 있었으며, 기층민중들을 결집시키고 각성시켜 나가는 데에는 종교문화의 힘이 크게 작용하였다. 이때의 종교문화라 함은 기성의 전통종교와는 궤를 달리하는 ‘신종교’라는 점에서 ‘혁신’을 요구하는 근대성 논의와 관련하여 중요한 연결고리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논문은 조선후기 등장한 증산의 사상체계를 중심으로 근대성과 혁신의 논리를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과정에서 필자는 신분제도의 붕괴와 부의 재분배라는 문제에 집중하고자 한다. 기술의 진보로 인해 나타난 물질적 부의 증대는 기존의 신분제도의 붕괴라는 현상을 야기하였으며, 이는 또한 한쪽으로 편중되어 있던 경제가 일반 민중에게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조선후기에 민중을 비롯한 중인계층의 급부상은 사대부 중심의 전통 유교사회를 흔드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는 종교문화가 사대부 양반만이 향유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라면 누구나 누릴 수 있는 기본적인 권리라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음을 뜻하는 것이다.

영문 초록

Modernization refers to a series of social, cultural, economic and political changes that have taken place over 200∼300 years since the 16thcentury in Western Europe.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which touches virtually every realm of reality, inevitably entails the idea of innovation. Modern society fully embraces the notion of innovation characterized by important historical landmarks such as Reformation, Industrial Revolution and Bourgeois Revolution. It endeavors to break from past and promote novelty. Through these approaches, modern society effectively criticizes the bygone era and demands for a major transition in perception of the contemporary society. Since 1990s, the meaning of the word ‘modernity’ and concepts it underlies have stirred up many controversie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fields of study in Korea. Although there seems to be no consensus on the issue of how Korea became to be a modern society it is now, it is generally agreed that Korean society began its modernization process in the late 19 thcentury. The establishment of Western ideologies and institutions in Late Choson Korea, regardless of arbitrary or willful manner in which it was prompted, required readjustment of many conventionally and traditionally accepted values. Collapse of hierarchical system and redistribution of wealth are the most preeminent aspects of this readjustment. Decline of traditional authority, augmentation of material wealth and innovation in technology in the Middle Ages have resulted in such a phenomenon. It was the public and not the ruling group that led this rapid movement towards modernity, and religious culture played an indispensable role in uniting and educating the mass. Religious culture at the time differed from the doctrines and values that traditional religions upheld, in the sense that it linked itself with principles of progress and innovation that modernity encompassed. This paper seeks to explain the logic behind modernity and innovation that emerged in Late Choson, along with Jeung-San thoughts. It aims to explain the significance of modernity and its relation to innovation as explained in Jeung-San thoughts..

목차

Ⅰ. 서론
Ⅱ. 근대의 특징-신분제도의 변화와 부의 재분배
Ⅲ. 전경10)속에 보여지는 신분제도의 변화
Ⅳ. 증산에 있어서 생산과 분배의 문제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기봉(Yun, Gibong). (2010).증산사상에서의 근대성 해석 문제. 종교교육학연구, 34 , 143-159

MLA

윤기봉(Yun, Gibong). "증산사상에서의 근대성 해석 문제." 종교교육학연구, 34.(2010): 143-1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