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종교평화학의 모색

이용수 27

영문명
Religious Studies of Peace:Where Peace Studies and Religion Meet
발행기관
한국종교교육학회
저자명
이찬수(Yi, Chansu)
간행물 정보
『종교교육학연구』제41권, 145~16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2.28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요한 갈퉁은 전쟁과 같은 물리적 폭력이 없는 상태를 ‘소극적 평화’로, 물리적 폭력과 구조적 폭력은 물론 문화적 폭력까지 없는 상태를 ‘적극적 평화’로 규정했다. 소극적 평화와 적극적 평화는 유학에서 말하는 소강(小康)과 대동(大同), 즉 백성이 법(法)으로 다스려져서 겉으로는 별 문제가 없어 보이는 상태와, 남과 나를 평등하게 보는 자세(仁)가 구현되어 “세상이 공적인 것이 되는”(天下爲公) 사회의 관계와도 상통한다. 아울러 기독교의 ‘하느님 나라’가 한편에서는 ‘아직 아닌’(not yet) 미래적 이상이면서도 그 이상을 추구하는 이들 안에 ‘지금 이미 와 있는’(already now) 현실이기도 하다는 종말론적 구조와도 통한다. 갈퉁의 책 제목에서처럼, 평화는 평화적 수단에 의해 이루어지며, 과정으로서의 평화 역시 평화라는 목적에서 온다는 평화학의 기본 구상은 종교적 혹은 신학적 구조와 상응한다. 이런 언어들을 종합하건대, 종교적 혹은 기독교 신학적 언어를 세속화 시대에 어울리도록 변형시키면 평화학이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평화학은 ‘세속화 시대의 신학’, 혹은 종교적 세계관의 ‘세속적 변용’이라 함직하다. 아울러 평화는 한국 신종교들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하는 개벽 사상의 구조와도 비슷하다. 하느님 나라나 개벽은 적극적 평화에 대한 종교적인 표현 혹은 번역들이라고 할 수 있다. 개벽의 구체적 내용을 적극적 평화라고 해도 된다는 뜻이다. 그런 점에서 종교 연구는 평화 연구와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으며, 평화학에서의 평화는 종교적 이상과 상통한다. 평화는 종교의 본질이고 이상이다. 평화가 구체화되는 곳에서 종교의 구체성과 진정성이 확보된다. 평화 없는 곳에는 종교도 없다. 평화학과 종교는 사실상 동일한 목적을 지니며, 평화를 근본에 둔 종교적 가르침과 평화학은 같은 내용의 다른 이름이 된다. ‘종교평화학’은 이런 맥락에서 조합 가능한 언어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평화학과 종교적 이상 모두에 공통적으로 담겨있는 평화 개념을 중심으로 평화학과 종교가 결국은 평화를 지향하고 구현하려 한다는 점에서 비슷한 구조를 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보고자 한다. 아울러 평화의 개념, 평화 교육, 평화의 종교적 근거 등을 정리함으로써, 종교적 세계관으로 평화학을 이해하려는 학문 체계 또는 평화학적 평화에 대한 종교적 이해 체계로서의 ‘종교평화학’의 기초를 다져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Johan Galtung defines the condition where physical violence, such as a war, is absent as the “negative peace” whereas he classifies the condition where all of physical, structural, and cultural violence are absent as the “positive peace.” Both the “negative peace” and the “positive peace” share the similar idea with Negative Safety[小康] and Great Unity[大同], which are two terms deriving from Confucianism; ‘Negative Safety’ is when people are well-abided by law, leaving the people with no problems whereas ‘Great Unity’, the condition where the “world has become fair”(天下爲公), is when the people have proper attitudes to see others and themselves equally. The two terms share the similar understanding with the Christian term “Kingdom of God.” The “Kingdom of God” has a future-oriented connotation that has “not happened yet” but also includes an eschatological structure where for those who seek the ideals, the ideals are “already actualized” in their reality. As it is implied in Galtung’s book title-Peace by Peaceful Means-, peace is made through peaceful means and it is the purpose of Peace Studies that makes procedural peace important. Therefore, the basic concept of Peace Studies happens to be in correlation with the religious or theological structures. Considering how the terms are interrelated, Peace Studies can be defined as a product made in this secularized era where religious and theological languages well-manage to adapt to. Peace Studies can therefore be explained as a “theology of the secularized era”, or as the “secularized transformation of the religious view of the world”. Peace is actually also similar to the idea of Gaebyeok[開闢], or also known as Great Transformation, often suggested by modernly-appearing Korean religions. The “Kingdom of God” and Gaebyeok can be understood as examples of religious languages or translations for the “positive peace.” In other words, the detail contents of Gaebyeok can be recognized as the “positive peace.” In this sense, Religious Studies fundamentally shares the similar concept with Peace Studies and is connected with the religious ideals remarked in the topic of Peace in Peace Studies. Peace is the essence and the ideal from of religion. The true meaning of religion can be found where peace is actualized. Talking religion without peace cannot happen. Peace Studies and religion do have the same purpose and Religious Studies and Peace Studies are the same language since religion is based upon peace. In this sense, Peace Studies and religion, both together, form the Religious Studies of Peace. This paper will focus primarily on the idea of peace from which can be found Peace Studies and religious ideals and ultimately reveal how Peace Studies and religion share a peace-oriented components. Furthermore, this paper will examine the definition of peace, peace education, and explain religious basis that is associated with peace in order to strengthen the idea of religious understanding of peace in Peace Studies and how academic curricula fathom Peace Studies using religious language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근대적 종교관과 종교 갈등의 원인
Ⅲ. 평화학적 평화와 종교적 세계관
Ⅳ. 평화의 사회성과 종교적 저항성
Ⅴ. 평화를 추구하는 종교적 이유
Ⅵ. 평화적 공동(共働)으로서의 종교 간 대화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찬수(Yi, Chansu). (2013).종교평화학의 모색. 종교교육학연구, 41 , 145-169

MLA

이찬수(Yi, Chansu). "종교평화학의 모색." 종교교육학연구, 41.(2013): 145-1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