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쟁점과 2015 개정 종교학 교육과정

이용수 41

영문명
Issues of Competency-Centered Curriculum and 2015 Revised Curriculum for Religious Studies
발행기관
한국종교교육학회
저자명
구본만(Koo, Bonman)
간행물 정보
『종교교육학연구』제51권, 53~7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7.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역량중심 교육과정으로 불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 담론 쟁점들을 분석하고, 그 결과로 얻은 세 가지 핵심 쟁점을 중심으로 종교학 교과역량 설정의 적합성과 타당성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세 가지 핵심 쟁점은 교과역량 설정과 관련한 절차적 타당성 문제, 선정된 교과역량의 내용적 적합성과 총론 핵심역량과의 연계성 문제, 성취기준의 진술방식 문제 등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절차적 타당성과 관련하여, 교과역량 설정 과정이 타당성을 갖기 위해서는 문헌분석, 전문가 델파이 조사, 관계 교원 설문조사, 전문가 협의회 운영 등 네 단계의 절차를 거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과정이 종교학 교과역량 설정 시에도 충족이 되었는지에대해 확인 가능한 선행연구를 찾을 수 없었다. 둘째, 내용적 적합성과 관련하여, 총론의 핵심역량중 종교학 교과역량에서 재해석된 것은 의사소통 역량과 감수성 역량 두 가지이다. 핵심역량 중자기관리 역량과 공동체 역량은 종교학 교과의 본질과 관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외되었는데, 그 이유에 대한 설명이 없다. 또한, 핵심역량과 교과역량의 연계성에 대해서도 충분한 설명이 없다. 셋째, 성취기준의 진술 방식과 관련하여, 종교학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은 각 영역의 성취기준‘설명’과 ‘(나)성취기준 해설’에서는 ‘내용 및 활동기준’ 형태로 진술되어 있고, ‘(라)평가 방법’에서는 수행 기대를 제시한 ‘수행기준’ 형태로 진술되어 있다. 그러나 성취기준과 함께 성취수준이제시되지 않은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영문 초록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issues of the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hich is called competency-centered curriculum, and to critically examine the suitability and validity of establishing subject competencies focusing on three core issues identified in the analysis. The three core issues are procedural validity regarding the establishing of subject competencies, the suitability of the subject competencies and connectivity between subject and core competencies, and the statement method of achievement standard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connection with procedural validity, establishing subject competencies need to have a four-phases validation process: literature review, Delphi survey, interested persons survey, and operating an expert council. However, these phases were not foun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subject competencies for religious studies. Second, in terms of content suitability, two core competencies of new curriculum introduction, i.e., the competencies of communication and sensibility were reinterpreted in the subject competencies of religious studies. Yet, other core competencies, such as self-management and community, were inexplicably omitted in the subject competencies. Further, there was no full explanation regarding the connection between core and subject competencies. Third, concerning the statement method of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case of curriculum for religious studies, the “explanation” and “(b)commentary” of achievement standards of each field were described in terms of “content & activity standards”, and “(d)evaluation methods” were described in terms of “performance standards.” Regrettably, completion levels were not presented with the achievement standards.

목차

Ⅰ. 서론
Ⅱ. ‘역량’ 담론의 쟁점과 2015 개정 교육과정
Ⅲ. 종교학 교과역량의 비판적 고찰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구본만(Koo, Bonman). (2016).역량중심 교육과정의 쟁점과 2015 개정 종교학 교육과정. 종교교육학연구, 51 , 53-78

MLA

구본만(Koo, Bonman).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쟁점과 2015 개정 종교학 교육과정." 종교교육학연구, 51.(2016): 53-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