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불교의 자연 인식 변천

이용수 128

영문명
Transformation on recognition of nature in Buddhism : Focusing on the meaning of Buddhist ecological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종교교육학회
저자명
김은영(Kim, Eunyoung) 예철해(Ye, Cheolhae)
간행물 정보
『종교교육학연구』제66권, 31~41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7.31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생태학에서는 지속되는 팬데믹(pandemic)과 같은 환경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자연에 대한 인간의 인식과 철학을 근본 적으로 바꾸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상호상관(相互相關)의 연기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 불교의 자연관이 인간중심적 사고에 대한 극복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많은 관심을 받아 왔다. 이에 이 연구는 불교의 전래 과정에서 드러난 자연 인 식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조망하여 그 교육적 역할과 의미를 도출하려고 시도하였다. 불교가 발생하고 전파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자연 인식은 인도 고대 사상과 동아시아의 유교와 도교의 자연관과는 차이가 있었다. 인도의 자연관은 범아일여(梵 我一如)적이었으며, 유교와 도교는 하늘을 중심으로 인위(人爲)와 무위(無爲)로 자연과 인간을 바라보았다. 불교는 연기 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사성제라는 실천 행태를 제시하였으며, 불성론 전개를 통해 자연물들까지 깨달음의 대상에 포함시 키면서 인간도 자연도 고정된 실체가 없는 평등한 존재로 여기는 진일보한 생태관을 보여주었다. 기존 사회의 자연관에 변 화를 주고 생명의 의미를 확장시킨 불교의 자연 인식의 교육적 의미를 다음과 같이 도출할 수 있다. 첫째, 불교생태교육의 목표는 자연은 정복의 대상이 아니라 상호공존해야 하는 대상이라는 것을 깨닫도록 하는 것이다. 둘째, 불교생태교육의 목 표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 내용은 연기(緣起)와 사성제(四聖諦)를 중심으로 선정하고 조직해야 한다. 셋째, 불교생태교육의 방법은 대기설법(對機說法)의 원리에 따라 학습자의 교육 단계에 맞는 교육 방법을 개발해서 실시해야 한다. 넷째, 앞의 교 육 목표와 내용과 방법이 적절하였는지 확인하는 평가가 수반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Modern ecologists argue that human recognition and philosophy of nature must be fundamentally changed to overcome a crisis such as the ongoing pandemic. Among the many alternatives, the Buddhist view about nature based on the Buddha’s Dhamma of paṭicca- samuppāda(緣起法) has received attention in overcoming human-centered thinking. This research attempted to derive its educational role and meaning by looking at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nature recognition revealed in the history of the transmission of Buddhism. The perception of nature that appeared in the process of the emergence and spread of Buddhism was different from ancient Indian religions and East Asian Confucianism and Taoism. The ancient Indian view of nature was the brahma-ātma-ekatva. Confucianism and Taoism looked at nature and human beings around the sky. In comparison, Buddhism presented the practice of the Four Noble Truths based on the paṭicca-samuppāda, and included natural objects in the subject of enlightenment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doctrine of Buddha-nature. It showed an advanced view of ecology, in which neither humans nor nature were considered equal beings without fixed entities. The educational meaning of Buddhist recognition of nature, which changed the natural view of existing society and expanded the meaning of life, can be derived as follows. First, Buddhist ecology education aims to help people realize that nature is not an object to be conquered, but a subject of mutual coexistence. Second, the educational content to achieve the aim should be selected and organized around paṭicca-samuppāda and the four noble truths. Third, the methods of Buddhist ecological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by the principles of the temperamental discourse, suitable for the learner s educational level. Last, it should be accompanied by an evaluation to ensure that the previous educational objectives, content, and methods were appropriate.

목차

Ⅰ. 서론
Ⅱ. 인도 불교의 자연 인식과 그 특징
Ⅲ. 동아시아 불교의 자연 인식과 구체화
Ⅳ. 결론 : 불교생태교육적 의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영(Kim, Eunyoung),예철해(Ye, Cheolhae). (2021).불교의 자연 인식 변천. 종교교육학연구, 66 , 31-41

MLA

김은영(Kim, Eunyoung),예철해(Ye, Cheolhae). "불교의 자연 인식 변천." 종교교육학연구, 66.(2021): 31-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