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불교 사과수행체계(四果修行體系)의 인간형성과정과 교육적 함의 고찰

이용수 76

영문명
A Study on The Process of The Human Formation of The Four Steps toward Enlightenment(四果) as The Practice in Buddhism and Its Educational Significances: In Comparison with John Dewey’s Educational Empiricism
발행기관
한국종교교육학회
저자명
이송곤(Lee, Songgon)
간행물 정보
『종교교육학연구』제66권, 151~17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7.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불교의 교육개념과 교육이론은 존 듀이의 교육개념이나 교육이론과 서로 많이 다르다. 동양과 서양의 사상적 배경 뿐만 아니라 세간(世間)과 출세간(出世間)이라는 특성의 측면에서 둘 사이에는 공통점을 찾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럼에도 불구하고 불교와 존 듀이는 삶의 현실을 중시하고 이러한 삶의 현실이 경험이라고 보고 있으며, 또한 양자는 상의 (相依)에 의한연속성[緣生法]과 성장(bhāvanā)의 개념과 상호작용과 지속성, 그리고 성장의 개념 사이에 비슷한 점이 있기 에 논의가 가능하다. 더욱이 존 듀이의 경험이론이 자세히 다루지 않고 있는 인식 주체와 대상 사이의 인식론적 과정을 불 교는 연기법에서 다루고 있어서 양자 사이에 차이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점은 사과수행의 인간형성을 위한 기반 이론이 되는 가치가 있다. 이와 같이 양자는 논의가 가능하고 연기법은 기반이론이 되는 가치가 있으므로 이 글에서는 연기 법의 개념을 방법론으로 하여 초기불교의 네 가지 단계의 수행과정, 즉 수다원․사다함․아나함․아라한 등 사과(四果)의 수행을 통해 범부 중생으로부터 세 가지 족쇄를 소멸하여 수다원의 성자의 과위에 이르고, 나아가 나머지 족쇄를 소멸하여 사다함과 아나함에 이르게 되며, 최종적으로 아라한 과위에서 탐 · 진 · 치 삼독심이 없어져서 열반에 이르는 환멸문 지향의 인간형성과정을 밝혔다. 더불어 이 과정에서 열반이라고 하는 최상의 인간형성의 상태에 도달하기 위한 교육적 경험의 성 장과 지속성, 그리고 상호작용이 있다는 것도 밝혔다. 이와 같이 사과의 수행과정은 교육적 경험의 개념과 이론을 나타내고 있고, 또한 그렇게 함으로써 열반이라고 하는 최상의 인간형성을 지향하고 있다는 점에서 초기불교의 인간형성이론이 될 수 있다. 또한 불교의 교육이론 중 사과(四果) 수행은 교육사상의 범위를 넓히며, 바람직한 인간 형성의 방법을 탐색하는 우 리나라 교육에 사상적 · 실제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From the viewpoint of the educational experience,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process of the human formation of ‘The Four Steps for The Practice toward Enlightenment(四果)’, that is The Sotāpanna(須陀洹), The Skadāgāmī(斯陀含), The Anāgāmī(阿那含), The Arahan(阿羅漢) in the early buddhism among buddhist history and thereby to suggest its educational significances. First of all, as the comparative method for this, the writer used the principles of growth of education, its continuity, and its interaction in John Dewey. Although there is no common denominator between the concept of The Four Steps of The Practice(bhāvanā) toward Enlightenment and that of Educational Experience in John Dewey, I tried to build a theory of human formation by educational experience in The Four Steps of The Practice toward Enlightenment by comparing that both, that is The Four Steps of The Practice by ‘interdependent theory(緣起法)’ appeared as logical structure in the former, which The Sotāpanna(須陀洹) as the first step for the practice succeed to accompany The Skadāgāmī(斯陀含) as the next step and continuously next to The Anāgāmī(阿那含) and continuously next to The Arahan(阿羅漢) and the ‘contunity’ for the growth of educational experience in the latter. The comparative discussion between the two like this is possible. To put it concretely, because the concept of the vividly educational experience that progressed by continuity and growth in nature for John Dewey is built on the foundations of ‘the inter-connected relation of the whole situations(全體狀況의 相互連結)’ is roughly like that of the supreme educational experience at ‘The Four Steps of the practice toward Enlightenment’ that the three poisonous mind, namely Greed(貪欲) · Anger(瞋恚), · Foolishness(痴闇), is totally disappeared through elimination of the ten fetters including Greed by The Hwanmyeolmun(還滅門 ; The gate of nibbāna through which one escape transmigration(輪迴) through successive extinction of anguishes based on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arising) progressing step by step from ‘all sentient beings(凡夫衆生)’ to ‘The Arahan , as the supreme state in ‘the world’. ‘The Four Steps of the practice toward Enlightenment’ has revealed the Value of the buddhistic human formation by the comparative discussion like this. In addition, this Four Steps of the practice toward Enlightenment is meaningfil in that appears epistemologic relation. Therefore, this ‘Four Steps for the practice toward Enlightenment’(四果) in the early buddhism ha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s for the human formation.

목차

Ⅰ. 서언
Ⅱ. 사과(四果)와 수행과정(修行過程)
Ⅲ. 존 듀이의 교육적 경험과 사과수행에서의 교육적 경험의 비교, 그리고 사과수행의 교육이론 정초
Ⅳ. 사과(四果)의 인간형성과정 고찰과 그 교육적 의의
Ⅴ. 결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송곤(Lee, Songgon). (2021).불교 사과수행체계(四果修行體系)의 인간형성과정과 교육적 함의 고찰. 종교교육학연구, 66 , 151-170

MLA

이송곤(Lee, Songgon). "불교 사과수행체계(四果修行體系)의 인간형성과정과 교육적 함의 고찰." 종교교육학연구, 66.(2021): 151-1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