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인의 직업적 능력 유형이 노동 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79
- 영문명
- Effects of Occupational Ability Types on Labor Precariousness in People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저자명
- 임예직(Lim, Yegick) 문영민(Mun, Yeongmin)
- 간행물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제53호, 213~24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직업적 능력을 유형화하고, 유형화한 직업적 능력이 장애인의 노동 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2020년 장애인고용패널 2차웨이브 5차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만 19~68세의 장애인 임금근로자 1,504명을 분석하였다.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해 직업적 능력 하위유형을 파악하고,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직업적 능력 유형과 인구사회학적, 장애, 노동시장 요인을 반영한 통제변수가 노동 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고수준 집단, 평균형 집단, 저수준 집단으로 정량적 수준에 따라 3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직업적 능력의 수준은 장애인의 노동 불안정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직업적 능력 수준에 따라 서로 다른 고용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점, 개별적 능력에 따라 직무훈련 등을 통해 직업적 능력을 개발하여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장애유형보다 직업적 능력이 장애인의 노동시장 성과를 잘 설명하므로 향후 직무 및 개인적 능력을 반영한 근로능력 평가 도구가 개발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occupational abiliti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o identify the effects of occupational ability types on labor precariousness in the disabled. To confirm this, 1,504 disabled wage-worker aged 19 to 68 years were analyzed using the data from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PSED) in 2020. Occupational ability subgroups are identified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LPA),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determine the impact of occupational ability types and control variables reflecting sociodemographicl, disability and labor market factors on labor precariousness. As a result of the latent profile analysis, high-level groups, medium-level groups, and low-level group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quantitative levels. In addition, the level of occupational ability significantly affected the labor precariousnes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different employment support services need to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level of occupational abilities. It was also suggested that labor capacity assessment tools should be developed that reflect job and personal abilities in the future, as occupational abilities better explain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an disability types.
목차
Ⅰ.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분석 결과
5.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인복지 종사자 대상 도전적 행동 지원교육의 효과성 연구 - 주간보호센터와 생활시설 종사자를 중심으로 -
- 정신장애인과 주민의 지역사회통합 경험 연구 : 관악 한울지역정신건강센터의 지역사회 역량강화 및 당사자-지역주민 관계맺기 지원 내용을 중심으로
- 지적장애 아동을 지원하는 특수교육실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및 사회적지지의 관계 : 스트레스 과정모델 검증
- 중년기 발달장애인의 주간보호서비스 이용 경험
- 중도시각장애노인의 시각상실과 삶에 관한 사례연구
- 장애인의 직업적 능력 유형이 노동 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 발달장애인의 도전행동과 성인 비장애 형제의 동반낙인감의 관계: 성인 비장애 형제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의 매개효과
- 언론에 나타난 정신장애인 담론에 대한 비판적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저출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청소년의 학교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