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판소리 교육 현황과 교수·학습법의 개선 방안

이용수 201

영문명
P’ansori’s School Education Status and Methods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발행기관
한국구비문학회
저자명
문봉석(Mun, Bong Seok)
간행물 정보
『구비문학연구』제62집, 77~112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이후 판소리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의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논의 결과를 간단하게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판소리 제재곡은 초등학교 3-4학년 감상 영역, 초등학교 5-6학년 감상 영역, 중학교 1-3학년 감상 영역 및 표현 영역에 포함되었다. 전체 판소리 제재곡의 학습 활동을 분석한 결과 총 8가지로 유형화되었는데, 구체적으로 ‘판소리의 구성요소 이해하기’, ‘음악적 표현 요소 파악하기’, ‘추임새 익히기’, ‘발림하기’, ‘따라 부르기’, ‘소리북으로 장단 반주하기’, ‘노래(극) 만들기’, ‘연관 장르와 비교하기’ 등이었다. 이들 학습 활동의 개선 방안으로 ‘판소리의 구성 요소 이해하기’는 판소리의 정의에 서사음악적 성격, 공연 형식, 음악적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되, 문화사적 가치를 드러낼 것, ‘음악적 표현 요소 파악하기’는 판소리의 구성 요소, 장단과 악조 등을 감상 요소로 제시할 것, ‘추임새 익히기’는 추임새를 단계별로 학습하되, 장단과 연계해서 학습할 것, ‘발림하기’는 연기적인 요소가 강한 대목을 대상으로 하되, 궁극적으로는 창의적인 신체 표현 활동으로 유도할 것, ‘따라부르기’는 대상 대목에 대한 충분한 배경 설명과 사설 해설을 추가하고, 통일된 악보와 감상 요소를 제시할 것, ‘소리북으로 장단 반주하기’는 소리북 연주를 위한 체계적인 기보법을 마련할 것, ‘노래(극) 만들기’는 ‘장단과 악조를 활용한 새로운 판소리 만들기’, ‘소리와 아니리를 활용한 음악극 만들기’, ‘기존 판소리 각색해 보기’와 같은 학습 방법을 활용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We examine problems in P’ansori learning activities for the 2015 revised textbooks and suggest methods for improvement. A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The P’ansori song was included in the listening area for the third to four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fifth to sixth graders, and first to third graders, as well as the expression area of middle school. We examined the learning activities of the entire P’ansori song and categorized them into eight types: understanding the components of P’ansori, understanding musical expression elements, learning ch’uimsae, ballim (mimetic gestures), sing along, accompaniment with drum, song play, and comparing with a related genre. We found that P’ansori learning activities can be improved by, first, including in the definition of P’ansori, all narrative musical characteristics, performance form, and musical components of P’ansori. Second, ch’uimsae should be learned step by step, but in tandem with changdan. Third, ballim should be targeted for a passage with a strong acting element, but ultimately lead to creative body expression. Fifth, during the sing-along, adding sufficient background and editorial explanations for passages and presenting unified sheet music and listening elements are suggested. Sixth, instructors must prepare a systematic notation method for drum performance. Seventh, it is important to use various learning methods, including the creation of new P’ansori and adapting existing P’ansori in song-making.

목차

1. 머리말
2. 판소리 학습 활동 유형
3. 학습 활동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봉석(Mun, Bong Seok). (2021).판소리 교육 현황과 교수·학습법의 개선 방안. 구비문학연구, 62 , 77-112

MLA

문봉석(Mun, Bong Seok). "판소리 교육 현황과 교수·학습법의 개선 방안." 구비문학연구, 62.(2021): 77-1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