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습장애에 대한 예비특수교사의 주관적 인식 탐구: Q-방법론을 적용하여

이용수 131

영문명
Exploring the Types of Pre-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for Learning Disabilities: Using Q-Methodology
발행기관
한국학습장애학회
저자명
이미지(Miji Lee) 김희은(Heeeun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장애연구』제18권 제2호, 91~11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특수교사의 학습장애에 대한 인식을 탐구하기 위하여 학습장애에 대한 이미지를 탐색하고 이를 유형화하여 유형별 특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활용된 분석 방법은 Q 방법론이며,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개발된 질문지를 토대로 4명의 전문가 집단의 포커스그룹인터뷰(FGI), 35명의 예비특수교사의 서면 인터뷰 조사가 수행되었다. 그 결과, 약 600여 개의 진술문(Q-모집단)이 확보되었으며, 범주화 과정을 거쳐 약 120개의 유의미한 진술문들을 확보, 외부 전문가 대상 내적 타당도를 거쳐 총 38개의 Q-표본을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38개의 Q-표본을 35명의 예비특수교사(P-표본)의 인식을 바탕으로 9점 척도(-4~+4)를 활용하여 분류한 결과, 총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1유형은 29%, 2유형은 9%, 3유형은 8%, 4유형은 7%의 설명력을 보였으며, 누적변량은 53%로 나타났다. 유형별 특성으로는 1유형은 “학습장애의 학업적 저성취 강조형”, 2유형은 “학습장애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관심 촉구형”, 3유형은 “학습장애의 심리·정서적 어려움 초점형”, 4유형은 “학습장애 체계적 진단 및 촘촘한 지원 촉구형”으로 명명되었다. 4개의 도출된 유형을 토대로 선행연구와 비교하고 추후 특수교사 양성과정에서의 학습장애 전문성 신장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ypes of learning disabilit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based on th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The analysis method used is the Q methodology, and for this, a focus group interview (FGI) of 4 experts and a written interview of 35 speci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ased on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about 600 statements (Q-population) are selected, and about 120 meaningful statements are obtained through the categorization process, and a total of 38 Q-samples are selected through internal validity of 2 external experts. The final selected Q-sample is classified into four types as a result of classifying it using a 9 steps scale (-4 to +4) based on the perceptions of 35 speci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P-sample). By type, the explanatory of Type 1 is 29%, Type 2 is 9%, Type 3 is 8%, and Type 4 is 7%, and the cumulative variance is 53%. Type 1 is “the type to emphasize academic underachievement of learning disability”, type 2 is “the type to focus on social awareness and interest in learning disability”, type 3 is “the type to focus o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of learning disabilities”, and type 4 is “the type to emphasize systematic Diagnosis and support of learning Disabilities”. The results of study is interpret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r types. We suggest directions to increase the expertise of learning disabilities in the Education Institution to fost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미지(Miji Lee),김희은(Heeeun Kim). (2021).학습장애에 대한 예비특수교사의 주관적 인식 탐구: Q-방법론을 적용하여. 학습장애연구, 18 (2), 91-118

MLA

이미지(Miji Lee),김희은(Heeeun Kim). "학습장애에 대한 예비특수교사의 주관적 인식 탐구: Q-방법론을 적용하여." 학습장애연구, 18.2(2021): 91-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