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연기도 무용, 춤과 같이 저작권 보호의 대상인가

이용수 74

영문명
Is Acting subject to copyright protection like Dance or Choreography?:Focusing on the Acting Performance in Films or TV shows
발행기관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저자명
이영미(Rhee, Young-Mi) 이상호(Rhee, Sang-Ho)
간행물 정보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제24권 제2호, 101~12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5.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15년 처음으로 미국 연방 항소법원은 배우는 자신의 연기에 대하여 저작권을 주장할 수 있다는 판결을 하였으나, 학계와 영화 산업계의 반발과 후폭풍으로 인하여 결국 전원합의체(en banc) 판결을 통해 연기의 저작권이 인정될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최근 국내에서는 한 아이돌 그룹의 공연으로 인해 전통무용 ‘삼고무’에 대한 저작권이 논란이 되었고, 대법원은 대중가요의 안무도 저작물로서 성립하고, 저작권이 인정됨을 명확히 하였다. 그렇다면, 국내 저작권법과 법원은 ‘예술작품’으로서의 무용 뿐만 아니라, 대중가수나 댄서들의 ‘안무’나 ‘춤’도 저작권법상의 저작물로 인정하는 반면, 무용이나 안무와 유사하게 인간의 신체적 동작과 몸짓, 표정 그리고 이에 더해 억양이나 목소리 톤까지 창조적으로 조합, 배열한 연기는 저작권법상 저작물로 인정하지 않는가? 저작권법은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을 표현한 창작물에 대하여 저작권자의 권리를 보호함과 동시에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을 도모함으로써 문화 및 관련 산업의 향상발전에 이바지할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저작물로 인정되기 위하여서는 우선, 그 저작물이 기존의 다른 저작물과는 다른 작성자의 개인적 정신활동의 결과라는 독자성 및 최소한의 창조적 개성이 포함된 ‘창작성’이 있어야만 한다. 또한,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의 표현’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저작물의 요건에 비추어 볼 때, 동일한 역할이나 인물 또는 표정을 연기할 경우에도 배우의 연기에 따라 표현이 달라지고 배우의 연기는 단순한 모방이 아닌 배우의 창조물이므로 연기는 ‘창작성’이 있고, 영화나 드라마의 인물의 사상과 감정은 무엇보다 배우의 연기를 통해 관객에게 전달되므로 연기는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의 표현’이라고 볼 수 있다. 미국은 연기의 저작권을 부정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으나, 미국 저작권법상 저작물 성립요건에 있어서 차이가 있고, 저작권청의 실무지침 또한 동일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미국법원의 태도는 국내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창작성과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의 표현이라는 저작물의 성립요건을 충족시키는 배우의 연기는 무용이나 안무와 마찬가지로 저작권법상 저작물로 인정되어 저작권법상 보호되어야만 할 것이다.

영문 초록

In 2015, for the first time, The United States Court of Appeals for the Ninth Circuit held that an actor could possibly claim a copyright for his performance in a film. However, due to the backlash from the academic and film industry, the court revisited the case en banc and held that actor had no copyright claim in his performance. Meanwhile, recently in Korea, the copyright for the traditional dance, “Samgomu”, has became controversial after an K-pop idol group’s performance at TV show, and the Supreme Court has clearly held that the choreography of popular songs may be established as a work in Copyright Act and have copyright protection under Copyright Act. In South Korea, not only the ‘artistic dane’, but also the ‘choreography’ or ‘dance’ of pop singers or dancers are recognized as a ‘work’ under the Copyright Act and the court. Then, the acting that creatively combines and arranges human body movements, gestures, facial expressions, and accents or tone of voice should be recognized as a ‘work’ under the Copyright Act, similar to dance or choreography? The Copyright Act aims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culture and related industries by protecting the rights of copyright holders for creative works expressing human thoughts or emotions, and promoting fair use of works. In order to be recognized as a ‘work’ under the Copyright Act, first of all, it should have “creativity” that includes the originality and minimal degree of creative personality that the work is a result of the author’s mental activity different from other existing works. Furthermore, it should be an ‘expression of human thoughts or emotions.’ In light of these requirements of a work, the acting performance of an actor has ‘creativity’ because even when playing the same role or character, the expression varies according to the actor’s performance and the performance is not just an imitation. In addition, since the thoughts and emotions of a person in films or TV shows are conveyed to the audience throughout the actor’s performance, acting could be regarded as an expression of human thoughts or emotions. Because the court in U.S.A has an attitude of denying the copyright for actor’s acting performance,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requirements for a work under the U.S. Copyright Act, and the Copyright Office’s practical rules or guidelines are not same between U.S.A. and ours, it can not be applied equally in Korean court. Therefore, the acting performance of an actor that satisfies the requirements of a work such as creativity and expression of human thoughts or emotions, like dance or choreography, should be recognized as a work and protected under the Copyright Act.

목차

Ⅰ. 서론
Ⅱ. 연기의 저작물 성립여부 및 저작권 보호
Ⅲ. 미국 법원의 태도 및 국내 적용여부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영미(Rhee, Young-Mi),이상호(Rhee, Sang-Ho). (2021).연기도 무용, 춤과 같이 저작권 보호의 대상인가.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24 (2), 101-121

MLA

이영미(Rhee, Young-Mi),이상호(Rhee, Sang-Ho). "연기도 무용, 춤과 같이 저작권 보호의 대상인가."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24.2(2021): 101-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