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발달외상을 경험한 여아의 모래놀이 사례연구

이용수 708

영문명
A Case Study of Sandplay Therapy For A Twelve Year Old Girl Who has experienced Developmental Trauma; From the Perspective of Murdock s Heroine Journey
발행기관
한국모래놀이치료학회
저자명
김주원(Kim, Joo Won)
간행물 정보
『모래놀이상담연구』모래놀이상담연구 제17권 제1호, 1~39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5.31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유아기 모와의 불안정애착과 정서적 방임, 아동기 부모의 이혼 과정에서 심리적 혼란 등 ‘발달 외상’을 경험하였던 사춘기 초입의 만 12세 여아의 모래놀이상담 사례연구이다. 자아 강화를 목적으로 18회기의 모래놀이상담이 시행되었다. 모래놀이상담 전 과정의 분석은 캠벨의 이난나 여성 영웅의 신성한 부름과 무의식 여정 출발, 지하세계로의 하강, 시련의 길, 그리고 다시 공동체로의 귀환이라는 3단계의 큰 흐름과 머독(Murdock)의 여성 영웅 여정을 분류한 10단계의 세부 단계로 비교 분석하였다. 비교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출발단계에서, 소녀 영웅의 출발(Departure; 1~3회기)은 부모의 이혼이라는 외적 사건을 통하여 ‘쓰레기처럼 버림받음’으로써, 자신의 여성성과 분리를 하고 영웅의 여정에 부름을 받는다. 외상으로 인한 짙은 그림자 안에서, 정화작업과 체험학습의 준비작업을 통해 남성성과 동일시하면서 여정을 떠나게 된다. 다음으로 입문(Initiation; 4~12회기), 지하세계로 하강하여, 3단계 ‘시련의 길’로 들어서서, 수영장을 건설하고, 무인도 정글의 무의식의 깊은 지하세계로 하강한다. 4단계에서, 자신의 성취에 팽창되기도 하나, 초자연적인 조력과 헬퍼(소피아 공주와 수호신 거북이)의 도움을 받으며 인고의 과정을 견디어낸다. 5단계 ‘영적인 메마름’을 깨달으며, 불모지 사막의 시련을 겪고. 허리케인 태풍을 만나는 고통의 과정에서 죽음을 직면하기도 한다. 6단계 여신(여성성)에게로 하강하는 ‘통과의례’를 하고, 7단계에서 자신의 여성성과의 연계를 향한 갈망을 드러내며, 자아(ego)의 여성 정체성(쥐띠, 생일)을 확립하며, 부정적 모성 콤플렉스를 극복하고, 대호(大虎)를 만나고, 그리고 자아와 자기(Self)와 영적인 만남을 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귀환(Return; 13~18회기)단계이다. 8단계에는 ’모-녀의 분리를 치유‘하기 위한 깊은 퇴행을 하고, 9단계에서 ’남성성의 치유‘과정을 통하여 선과 악을 구별하고 ’조선-근대-현대‘사회를 분류하면서 동시에 여성적인 특성인 감성적인 부분을 수용한다. 영웅, 자아(ego)는 자신의 탄생을 축하하면서 자아의 에너지를 인식하고 더 능력 있고 효과적으로 기능하면서 공동체(가난한 찰리의 가족)로 귀환을 결정한다. 이제 자신의 공동체(가족)로 돌아와서 18 회기에서 생일 케이크를 만들고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소녀 영웅이 되어 일상생활과 가족관계 및 또래 관계적인 면에서도 변화를 가져온다. 본 모래놀이상담 사례연구를 통하여, 머독(Murdock)의 여성 영웅여정을 기반으로 소녀 영웅은 여성성의 분리, 인고의 과정을 통해 트라우마의 치유, 통과의례 진행, 그리고 남성성과 여성성의 통합 과정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is a sandplay case study of a twelve year old pre-pubescent female that experienced developmental trauma. She has experienced insecure attachment to the mother and emotional neglect during infancy and early childhood in addition to psychological confusion during the parents divorce. Sandplay therapy was conducted 18 sessions for ego strengthening. The effects of the sandplay therapy was comparatively analyzed through Joseph Campbell s three acts of quest found in the Inanna myth of the heroine’s journey, the departure, descent into the underworld and the return to community and mainly through a more detailed ten stages of heroine s journey suggested by Maureen Murdock. In her Departure(session 1 through 3), in the first stage, the heroine is thrown away like garbage in an external event which is her parents divorce. In this step, she separates from her femininity and receives the call to adventure. In the dark shadows of her trauma, she identifies with masculinity through purification processes and preparation through ‘field studies in session 2 and session 3’, and embarks on her journey. During her initiation (session 4 through 12), she descends into the underworld and enters stage three, ‘the road of trials’. She constructs a swimming pool and descends into the deserted jungle of the deep underworld of unconsciousness. In step 4, she has to find the loon of success, but she endures this process of perseverance with supernatural help and the assistance of helpers(Princess Sophia and a guardian turtle). In stage 5, she realizes awakening to feelings of spiritual aridity and experiences the trials and tribulations in a desert wasteland. She also comes face to face with death in the painful process of encountering a hurricane/typhoon. During stage 6, she goes through the rite of passage where she initiates and descents to the goddess. In stage 7, she reveals her desire for connection with her femininity and confirms the feminine identity(Chinese horoscope sign of rat, birthday) of the ego, thereby overcoming the negative mother complex. She then meets the Great Tiger, and her ego and self have their spiritual encounter. Finally, there is the return to community. In stage 8, there was deep regression to assist the healing of the mother-daughter separation and in stage 9, good and evil were differentiated through the healing of wounded masculinity and furthermore, characteristically emotional aspects of feminine are accepted while she made Chosun- early modern period- contemporary period are categorized. And in the final stage is the integration of masculine and feminine. The heroine/ego celebrates its own birth and becomes aware of its own energy to function more competently and effectively. Ultimately, the heroine decides to return to its community(Charlie s poor family). Now that she has returned to her community, she makes a birthday cake during session 18 and becomes a heroine who is helpful to all. As a result, there are changes in her daily life and relationships with family and peers as well. Through this sandplay case study, the heroine was able to verify and confirm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feminine, healing her trauma through trial and tribulations, execution of her rites of passage, and finally the unification of the masculine and feminin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모래놀이치료 결과 및 분석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주원(Kim, Joo Won). (2021).발달외상을 경험한 여아의 모래놀이 사례연구. 모래놀이상담연구, 17 (1), 1-39

MLA

김주원(Kim, Joo Won). "발달외상을 경험한 여아의 모래놀이 사례연구." 모래놀이상담연구, 17.1(2021): 1-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