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과의 내면화의 두 차원: 시간과 공통감각

이용수 81

영문명
Two Dimensions of the Internalization of Studying Subject: Time and Common sense
발행기관
한국도덕교육학회
저자명
최향미(Hyang-Mi Choi)
간행물 정보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33권 제2호, 151~17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내러티브는 현재적 맥락에서 언어의 이면을 되살려 내는 특별한 언어구사 방식을 가리킨다는 점에서 내러티브 이론은 그 자체로 교과의 내면화 이론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내러티브가 공통감각과 시간을 그 의미 요소로 하여 성립한다는 사실은 그 점을 뒷받침해준다. 공통감각은 인간의 전신체적 반응으로 표출되며 몸이 반응하는 표준적 방식을 규제하는 것으로서, 인간의 5감의 심층적 원천에 해당하는 그러한 것이다. 그리고 이 공통감각은 내러티브에 의하여 표출되고 획득되며, 이 점에서 그것은 내러티브의 구사에 힘입어 도달하게 되는 교과의 내면화를 가리킨다고 말할 수 있다. 다만, 공통감각의 개념은, 교과의 내면화는 특별히 몸의 동적 상태와 관련하여 규명되어야 한다는 점을 밝혀 주고 있다. 물론, 여기서 몸의 동적 상태라고 하는 것은 마음과 분리된 몸―육체―의 특정한 상태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마음과 분리불가능한 채 결합된 것으로서, 마음이라고 해도 몸이라고 해도 되는 그러한 것의 동적 측면을 뜻한다. 한편, 공통감각은 교과를 배워 언젠가 도달하게 되는 최종 도착점―궁극적 목적―이 아니라, 교과를 배우는 시간 계열의 추이에 따라 그와 동시에 점차로 획득되는 규제적 표준이라고 보아야 한다. 교과의 내면화는 교과를 배우는 시간 계열의 매순간과 면밀히 대응하며 그 수준과 정도를 순차적으로 더해 간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교과학습에 관한 한, 그 시간 계열은 교과의 내면화 국면과 다르지 않으며, 따라서 교과의 언어적 전달의 시간 계열이 곧, 교과의 내면화의 순차적 계열을 뜻한다고 볼 수 있다. 교과의 내면화 이론이 내러티브 이론의 두 축을 이루는 시간 이론과 공통감각 이론의 종합으로 설명되어야 할 이유도 바로 이 점에 있다.

영문 초록

The theory of narrative can be seen as the theory of internalization of studying subject itself in that the narrative can be regarded as special way of speaking language that revives the internal side of language in the present context. In particular, this point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the narrative is defined by the common sense and time as its meaning element. The common sense is such an in-depth source of human five senses as it is expressed in the response of the whole body of the human and regulates the standard way the body responds. And this common sense is expressed and acquired by the narrative, and in this respect, it can be said that it refers to the internalization of studying subject that is reached through the narrative. However, the concept of common sense reveals that the internalization of studying subject should be specifically explained in aspect of the dynamic state of the body. Of course, the dynamic state of the body here does not refer to a specific state of the body-the flesh-separated from the mind. It signifies the dynamic aspect of mind-and-body that can never be separated with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the common sense should not be regarded as the final destination, so called the ultimate standard which is reached someday by learning the subject matter, but as a regulatory standard that is gradually acquired in the progress of the time series to learn the subject matter. The internalization of studying subject can be seen as sequentially increasing the level and degree by thoroughly responding to every moment of the time series of learning subjects. As far as studying subject is concerned, the time series is not different from the internalization phase of studying subject, so it can be seen that the time series of linguistic delivery of subject matter means the sequential series of the internalization of studying subject. This is the reason why the theory of internalization of studying subject should be explained as the synthesis of the theory of time and the theory of common sense, which constitute two axes of the theory of narrative.

목차

Ⅰ. 서론
Ⅱ. 공통감각
Ⅲ. 시간
Ⅳ. 교과의 내면화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향미(Hyang-Mi Choi). (2021).교과의 내면화의 두 차원: 시간과 공통감각. 도덕교육연구, 33 (2), 151-177

MLA

최향미(Hyang-Mi Choi). "교과의 내면화의 두 차원: 시간과 공통감각." 도덕교육연구, 33.2(2021): 151-1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