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유형과 성별에 따른 고등학생의 성인진입기 인식에 관한 연구

이용수 85

영문명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emerging adulthood by high school type and gender
발행기관
한국발달지원학회
저자명
주해원(Haewon Ju) 장희순(Heesoon Jang)
간행물 정보
『발달지원연구』제10권 제1호, 65~8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4.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Arnett(2000)가 제안한 새로운 발달단계인 성인진입기(emerging adulthood)의 시작 시기에 해당하는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학교유형(일반고, 특성화고)과 성별에 따른 성인진입기 인식을 조사하였다. 서울과 인천에 소재한 일반고 학생 114명(남: 54명, 여: 60명)과 특성화고 학생 109명(남: 39명, 여: 70명)에게 주관적 성인 도달 인식, Arnett의 성인기준 목록, 성인진입기 특성에 대해 설문조사 자료를 수집하고, SPSS 25.0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유형과 성별에 상관없이 응답 학생의 대부분이 스스로 아직 성인이 되었다고 생각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Arnett의 성인기준들 가운데, ‘자신이 한 행동의 결과에 책임을 지는 것’을 모든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중요한 성인기준으로 생각하였으나, 다른 기준에서는 학교유형과 성별에 따라중요도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성인진입기 특성 6개 가운데, ‘정체성 탐색’에서 학교유형과 성별 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고, ‘실험/가능성’, ‘불안정성’, ‘타인에게 집중’, ‘자신에게 집중’ 차원은 학교 유형이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중간에 끼인 느낌’은 학교유형, 성별, 상호작용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교육 및 상담에서의 시사점, 후속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erception of emerging adulthood for high school seniors by type of school (professional vocational and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gender. The survey data of subjective perception of having reached adulthood, Arnett s transition to adulthood questionnaire and Inventory of the dimensions of emerging adulthood(IDEA) collected from 114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54 males, 60 females) and 109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39 males, 70 females) located in Seoul and Incheon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version. Result are as follows. First, regardless of school type and gender, most of the respondents did not think they were adults yet. Second, the highest ranks in the whole groups were observed for the criteria, ‘accept responsibility for the consequences of your actions.’ but in other criteria,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importance according to the school type or gender. Third, among the six subscales of the IDEA,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school type and gender was found in identity exploration , and the subscale of experimentation/possibility , instability , other-focused , and self-focused differed depending on school type and gender. There was no significant result of feeling in between in terms of school type, gender, and inter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ts implications in education and counseling, and the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해원(Haewon Ju),장희순(Heesoon Jang). (2021).학교유형과 성별에 따른 고등학생의 성인진입기 인식에 관한 연구. 발달지원연구, 10 (1), 65-86

MLA

주해원(Haewon Ju),장희순(Heesoon Jang). "학교유형과 성별에 따른 고등학생의 성인진입기 인식에 관한 연구." 발달지원연구, 10.1(2021): 65-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