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졸 청년층 신입사원의 첫 일자리 적응 잠재 유형과 조기 이직과의 관계 분석

이용수 471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graduate newcomers’work adjustment and early turn over
발행기관
한국직업교육학회
저자명
이은정(Eun-jung Lee)
간행물 정보
『직업교육연구』제40권 제2호, 1~2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4.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졸 청년층 초기 경력자에게 첫 일자리에서의 안정적인 적응을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고 기업 차원에서는 신입사원의 조기 이직을 방지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하여 대졸 청년층의 첫 일자리에서의 적응 유형 잠재 집단을 도출하였으며, 생존분석을 통해 잠재 집단별 조기이직 여부와 시점이 어떻게 차별적으로 나타나고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대졸 청년층의 첫 일자리 적응 유형은 ‘전반적 불만족’ ,‘임금, 고용 안정성 만족’ ,‘근로시간 만족’, ‘전반적 만족’, ‘인간관계, 적성 만족’의 총 다섯 개 잠재집단으로 도출되었다. 전체 분석대상에 대한 카플란 마이어 생존 곡선을 확인한 결과 조기이직 위험률은 초기 5개월 동안 증가하다가 감소한 뒤 1년에 도달하는 시점에 다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점차 안정화 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카플란 마이어 생존 함수를 적용하여 첫 일자리 적응 유형 잠재집단별 조기이직 발생 시점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임금, 고용 안정성, 근로시간과 같은 기업의 조직 구조적 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집단의 경우 관찰기간 중기에 이르기까지는 상대적으로 높은 조기이직 생존율을 보여주었으나, 후기에 이르면서 점차 상대적으로 낮은 생존율을 보여주었다. 반면 ‘인간관계, 적성 만족’집단의 경우, 입사 직후 초기 시점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조기이직 생존율을 기록하였으나, 시간이 경과할수록 타 집단 대비 높은 생존율을 보여주는 경향성이 발견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직업 세계 진입 이전에 선행 되어야 하는 진로 설계 지원의 중요성과 입사 이후 조직 차원에서 제공되어야 하는 신입사원 조기 전력화를 위한 선제적인 지원의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implication for supporting university graduate newcomers to adapt to their first jobs. To this end, latent profile analysis and survival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ve latent profile groups were constructed, which were “general dissatisfaction,” “wage and job stability satisfaction,” “working hours satisfaction,” “general satisfaction,” and “coworkers relationships and job aptitude satisfaction.” The groups presenting high satisfaction with organizational structural factors such as wages, job stability and working hours showed relatively high survival rates until the middle of the observation period. But it changed to be relatively low as getting to the en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oworkers relationships satisfaction” group, the survival rate was relatively low in the beginning, but it was turned out to be higher than other groups at the e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need for career education offering realistic job preview and social supports helping newcomers adjust to their first job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정(Eun-jung Lee). (2021).대졸 청년층 신입사원의 첫 일자리 적응 잠재 유형과 조기 이직과의 관계 분석. 직업교육연구, 40 (2), 1-23

MLA

이은정(Eun-jung Lee). "대졸 청년층 신입사원의 첫 일자리 적응 잠재 유형과 조기 이직과의 관계 분석." 직업교육연구, 40.2(2021): 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