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도덕교육의 성격과 과제

이용수 256

영문명
Nature and Task of Moral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도덕교육학회
저자명
박종덕(Jong-Duk Park)
간행물 정보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33권 제1호, 1~2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듀이의 도덕의 이론은 도덕과 지식의 관련을 확립하려고 하였다는 것에 그 특징이있다. 이것은 곧, 도덕교육의 성격은 지식을 가르치는 교과교육의 구체적 맥락에 비추어 파악되어야 한다는 뜻이다. 그러나 이러한 이론적 공헌에도 불구하고 듀이의 도덕의이론은 한계를 가진다. 무엇보다도 듀이는 교과를 배워 성취하게 되는 유용한 목적에비추어 도덕의 개념을 설명하며, 따라서 듀이의 도덕은 일상의 삶에서 당면하는 직분을원만하게 잘 처리해가는 데에 필요한 일의 도덕일 뿐, 교과를 이루는 지식을 배워 획득하는 교과의 도덕은 아닌 것이다. 「중용」에 의하면 교과의 도덕은 교과의 안을 이루는것으로서, 생각과 말과 행동의 원천을 이루는 심성과 다른 것이 아니다. 도덕교육은 교과를 배워 획득되는 이 심성이 나날의 생각과 말과 행동으로 저절로 표출되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도덕교육의 과제는 도덕교육의 이러한 성격에서 도출될 수 있다. 도덕교육의 과제는 교과가 심성과 맺는 그러한 관련을 설명하는 교육이론을 그 내용으로 정립하는 것에 있는 것이다. 종래의 윤리학 또한 올바른 삶과 그 정당화를 다루고 있으며, 이 점에서 윤리학은 도덕교육의 내용으로 삼을 만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다만, 윤리학은 올바른 삶의 정당화를 그 자체로 설명할 뿐, 그 올바른 삶의 획득―교과의 내면화―과 관련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바로 이 점에서 윤리학은 올바른 삶의 정당화가 교과의내면화와 맺는 관련을 설명하는 교육이론의 하나로 재정립될 필요가 있다. 성리학은 진정한 의미에서의 윤리학이 보여주는 교육이론 그 자체라는 점에서 향후 도덕교육이 노력을 기울일 과제는 바로 그 성리학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영문 초록

Dewey’s theory of morality is characterized by attempt to establish the relation of knowledge to morality. From Dewey’s point of view, the nature of moral education must be grasped in the light of the specific context of the subject education which leads us to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But Dewey’s theory of morality, in spite of these theoretical contributions, limits itself to some points. First of all, Dewey defines morality by way of the useful purpose that is achieved by learning the knowledge. Therefore, Dewey’s morality is not the morality of the studying subject acquired by learning the knowledge, but the morality of the work, meaning morality by which everyone conducts his occupational life. According to The Doctrine of the Mean, the morality of the studying subject, which is quite distinct from the morality of the work, but which is not different from the not-yet-manifested mind, an ingredient essential to the studying subject. Thus Moral educa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express the not-yet-manifested mind into daily words, thoughts, and actions by itself. It is the task of moral education that is derived from the nature of moral education. Conventional ethics can be regarded as deserving of the content of moral education in that it also deals with the moral life and its justifications. However, ethics explicate the justifications of the moral life, but it leaves the problem of the acquisition of moral life, which amounts to the internalization of studying subject. This would suffice to differentiate between educational theory and ethics. The more ethics depends on the educational theory which shows the relation of the studying subject to the not-yet-manifested mind, the more sufficiently ethics accomplishes what is most characteristic of it. In other words, ethics needs to be re-established as the educational theory which shows the relation between the internalization of studying subject and the justification of the moral life. Since Neo-Confucianism is the theory of education through which ethics may be completed, we reach the statement that the task of moral education in the future centers around the Neo-Confucianism.

목차

Ⅰ. 서론
Ⅱ. 도덕의 이론: 듀이의 관점
Ⅲ. 일의 도덕과 교과의 도덕
Ⅳ. 도덕교육의 성격
Ⅴ. 결론: 도덕교육의 향후 과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종덕(Jong-Duk Park). (2021).도덕교육의 성격과 과제. 도덕교육연구, 33 (1), 1-21

MLA

박종덕(Jong-Duk Park). "도덕교육의 성격과 과제." 도덕교육연구, 33.1(2021): 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