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기업 연구개발 인력의 학습지원환경과 무형식학습 수준의 관계에서 학습도구 활용의 조절효과

이용수 53

영문명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Use of Learning Too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nd Learning Support Environment of R&D Workforce in Large Corporation
발행기관
한국농산업교육학회
저자명
송선일(Song, Sun Il) 이찬(Chan Lee)
간행물 정보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제45권 제2호, 1~2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대기업 연구개발(R&D) 인력의 무형식학습과 학습지원환경 및 학습도구활용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우리나라 대기업 연구개발 인력 전체로 연구개발투자비 상위 20개 기업에 근무하는 대기업 연구개발 인력을 대상으로 표집이 실시되었다. 자료분석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대기업 연구개발 인력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무형식학습 수준은 연령, 학력, 직급, 연구유형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기업 연구개발 인력의 무형식학습과 학습지원환경의 하위변인인 학습조직문화, 동료접근성, 학습지향리더의 순으로 무형식학습에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도구의 활용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는 학습지향리더와 학습조직문화의 수준이 높을수록 무형식학습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습도구의 활용수준이 낮은 집단에서는 학습지향리더, 학습조직문화와 무형식학습 사이에 유의한 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무형식학습수준과 학습지원환경의 관계에 대한 학습도구 활용의 조절효과가 나타났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대기업 연구개발 조직에서 학습지향리더와 학습조직문화와 같은 학습지원환경을 충분히 갖추었다고 하더라도, 실제 업무수행 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학습도구를 시의적절하게 제공할 수 없다면 무형식학습의 수준이 제한될 수도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relationship among informal learning, learning support environment and the use of learning tools of R&D Workforce in Large Corporation. The population for this study was R&D workforce in large corporation. The purposive sampling for the study was performed to top 20 companies in R&D investment amount. To estimate parameters of proposed research model,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ere used. Based on the finding of the stud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formal learning level of R&D workforce in large corporation was different according to age, level of education, position, the type of research. Second, learning support environment level of R&D workforce in large corporation have a high level of significance with informal learning. Learning organizational culture, peer accessibility, learning-oriented leader were most explained by informal learning. Third, the use of learning tools, learning-oriented leader in a group with a high degree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rning a higher level of intangible expression showed an increase in learning. While the use of learning tools, learning-oriented leader in a group with a low level of learning,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and intangible expressions were not foun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Findings from the current study demonstrate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use of learning tools indicate to have positive influenc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l learning and learning support environment level of R&D workforce in large corpor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선일(Song, Sun Il),이찬(Chan Lee). (2013).대기업 연구개발 인력의 학습지원환경과 무형식학습 수준의 관계에서 학습도구 활용의 조절효과.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5 (2), 1-22

MLA

송선일(Song, Sun Il),이찬(Chan Lee). "대기업 연구개발 인력의 학습지원환경과 무형식학습 수준의 관계에서 학습도구 활용의 조절효과."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5.2(2013): 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