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수학능력시험 농업 기초 기술 과목의 문제해결능력 측정 평가목표에 기초한 출제 경향 및 문항 유형 분석

이용수 2

영문명
Analysis of Tendency of Questions and Item Types based on Evaluation Objectives of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in ‘Techniques in Basic Agriculture’ Subject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발행기관
한국농산업교육학회
저자명
김진구(Kim, Jin-Gu)
간행물 정보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제47권 제3호, 1~37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9.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1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 적용된 교과 중심 문제해결능력 측정 평가 목표에 기초하여 농업 기초 기술 과목 출제 경향과 문항 유형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출제 과정과 수험 대비를 위한 교수‧학습 과정에 유용한 기초 정보와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체제에서 출제된 7회분, 140문항에 대한 문항 분석 및 연구자의 내용‧행동영역 분류 안에 대한 타당성 확보 차원에서 교과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전문가 협의회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추가 되고 강조된 일부 중단원에서 한 문항도 출제되지 않아 중단원 수준 내용영역 안배 차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둘째, 교과 개념 및 원리에 대한 이해력과 문제해결과정에 요구되는 사고력이 균형 있게 측정되고 있었지만 문제해결능력 측정 행동영역 간에, 특히 단원별 행동 영역에서 두드러진 출제 비중 편중 현상이 발견되었다. 셋째, 단원별 학습내용과 행동영역에 따라 제한될 수밖에 없는 문항 소재 특성으로 인해 내용‧행동영역별 소재 활용 편중 현상이 발견되었다. 넷째, 행동영역별 평가요소를 기준으로 한 문항 유형 분류 과정에서 평가요소간에 부분적 중복 현상이 발생하거나 현행 평가요소 개념만으로 구분이 모호하거나 한계가 있는 유형들이 많이 발견되었다. 다섯째, 특정 단원 동일 학습내용을 질문을 유도하는 문두표현과 함께 활용된 소재 내용이나 구성 및 문항풀이에 요구되는 접근 방식을 유사하게 구성하여 측정하는 출제 빈도가 높은 정형화된 문항 유형들이 많이 발견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endency of questions and item types in ‘Techniques in Basic Agriculture’ subject of 2014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system based on 2007 revised curriculum and evaluation objectives of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nd suggestions on making questions and teaching-learning to prepare students for test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ud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analyzed 140 items taken 7 tests (2 in the CSAT, 5 in the preliminary CSAT) in 2014 CSAT system and conducted Subject Matter Experts group surveys and experts committee to ensure validity of the standards classifying content area and behavioral area of each item drafted by researcher.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new contents in 2007 revised curriculum wasn’t evaluated in the tests, so it is necessary to try to include all contents in the subject. Second, it was founded that the questions of the tests placed to much emphasis on content area of the units of the subject though the tests had to evaluate thinking ability to understand concepts and principles of the subject and solve the problems. Third, it was founded that certain subject matters were too often used because of limited subject matters in learning contents and behavioral area. Fourth, in the process of classification of item types on the basis of behavioral area evaluation, the researcher could see overlapping partially among the evaluation factors and a lot of question types are not clear or limited not to be classified on the present concept of the evaluation factors. Fifth, those stereotyped item types which was written using the repetitive sentences and subject matter used frequently were found a lo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구(Kim, Jin-Gu). (2015).대학수학능력시험 농업 기초 기술 과목의 문제해결능력 측정 평가목표에 기초한 출제 경향 및 문항 유형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7 (3), 1-37

MLA

김진구(Kim, Jin-Gu). "대학수학능력시험 농업 기초 기술 과목의 문제해결능력 측정 평가목표에 기초한 출제 경향 및 문항 유형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7.3(2015): 1-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