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 Conceptual Framework of Educational Exhibitions in Art Museums

이용수 10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자명
김세준(Kim, Saejune)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연구논총』제18권, 25~4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12.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발달 교육심리학, 구성주의 미술관학 이론, 제도 미학이론을 바탕으로 미술관의 교육전시 모형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사례를 소개하고자 하였다. 교육전시 모형개발을 위하여 인지발달심리학에서 대표적인 비코츠키(Semenovich Vygotsky), 브루노(Jerome Bruner), 반두라(Albert Bandura)의 다양한 이론을 학습자의 학습과정 위주로 점검하였다. 구성주의 미술관 이론은 주로 하인(George Hein)과 디어킹(Lynn and Falk Dierking)의 개념들을 관람자의 미술관 전시체험 관점에서 선택적으로 사회적, 개인적, 물리적 관점으로 분류하였다. 현대제도미학이론 중 집중적으로 와이츠(Moris Weitz)와 딕키(George Dickie), 비어슬리(Monroe Beardsley)의 개념들을 적용하였는데 이는 ‘열린 개념(Open concept) 을 수용하여 예술경험을 경험자와 다양한 맥락에서 해석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내용분석기법 중 기술기법을 사용하여 정성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변수로서 다양한 개인, 사회-문화, 현장의 맥락을 적용시켰다. 또한 교육전시에 어울리는 발견(Discovery) 혹은 구성주의 전시모형을 바탕으로 방문자의 선험 지식, 전시를 구성하는 미학적인 작품, 텍스트, 전시디자인이 함께 관람자/학습자의 경험과 배움을 만든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모형은 반두라의 필드모형이 제안하듯이 미술관 경험맥락과 개인 삶, 개인의 외부적인 삶에 의해서 미술관 경험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보여준다. 교육전시의 사례로 미국 조지아주 아틀란타시에 위치한 하이미술관(High Museum of Art)의 <보기위해 배우기/배우기위해 보기(Learning to Look/Looking to Learn)>전을 소개하였다. 전시된 작품에 대한 기본적인 분석과 함께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교육전시모형의 요소를 적용시켜 전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미술관에서 교육전시를 기획하는 많은 교육자와 전시담당자가 관람자의 경험의 순서를 고찰함으로써 그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도록 하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and synthesize a variety of theories and approaches in cognitive developmental psychology, constructive museum theory and aesthetics as they relate to visual art exhibition in art museum. The constructive mode of the educational exhibition based on cognitive-field theory was proposed. The conceptual frameworks for aesthetics were derived from various philosophical, psychological, and sociological theories as found in the writings of Morris Weitz, George Dickie(1971), and Monroe Beardsley(1981). Aesthetic theories were examined to discover new definitions of art within the scope of the art museum exhibitions. The cognitive educational theories proposed by Lev Semenovich Vygotsky(Bigge and Samuel, 1999), Jerome Bruner(Bigge and Samuel, 1999), and Albert Bandura(Bigge and Samuel, 1999) were examined for organizing content and sequence of learning in the exhibition. The constructive museum theories are derived from the writings of George Hein(1998) and Lynn and Falk Dieking(1995). As a conceptual inquiry, this study both clarified and synthesized the elements of exhibition for life-long education. Finally, cognitive-field model for developing educational exhibitions in art museums was suggested. The focus of this study on the sequence of exhibition learning resulted in a broadly based synthesis of various theories and an analysis of the exhibition, Learning to Look, Looking to Learn.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Ⅲ. Cognitive-field model for developing educational exhibitions in art museums
Ⅳ. An Analysis of the exhibition, Learning to Look, Looking to Learn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세준(Kim, Saejune). (2005).A Conceptual Framework of Educational Exhibitions in Art Museums. 미술교육연구논총, 18 , 25-47

MLA

김세준(Kim, Saejune). "A Conceptual Framework of Educational Exhibitions in Art Museums." 미술교육연구논총, 18.(2005): 25-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