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안중근의거 전후 하얼빈 한인사회의 형성과 그 역사적 의의

이용수 172

영문명
Formation and Activities of Harbin Korean Community Before and After 1909
발행기관
한국보훈학회
저자명
신운용(Woon-Yong Shin)
간행물 정보
『한국보훈논총』제19권 제4호, 101~12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하얼빈 한인사회의 형성은 동청철도의 부설이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1903년 무렵부터 본격적으로 하얼빈에 철도노동자로 모여들기 시작하여 1907년 3월 하얼빈 총영사관의 설립과 더불어 일제는 하얼빈 한인에 대한 통제를 목적으로 강봉주를 사주하여 한인회를 만들었다. 하지만 이는 김성백 등의 하얼빈 민족투쟁가들의 저항에 부딪쳐 1909년 5월 해체되었다. 하얼빈 한인의 민족운동은 미주와 블라디보스토크과 연동되어 있었다. 그 결과 1909년 9월 14일 공립협회 하얼빈지방회가 성립되었다. 하얼빈지방회는 함경도 출신의 30대 노동자가 주축을 이루고 있었다. 하얼빈공립협회의 회장은 강봉주이었지만, 김성백 등의 민족투쟁가들이 그 활동을 주도한 것으로 보인다. 공립협회가 국민회·대한인국민회로 확대 개편됨에 따라 공립협회 하얼빈지방회도 하얼빈국민회·하얼빈대한인국민회지부로 재편되었다. 한편, 하얼빈 민족투쟁가들은 민족운동의 지속과 한인의 단결을 위해 학교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끼었다. 그 결과 김성백 김성옥·김형재·탁공규 등이 중심이 되어 1909년 4월 18일(러시아력) 동흥학교 설립 신청을 하였다. 동흥학교를 유지하고 한인의 단결을 더욱 튼튼히 하기 위해 김성백 등 70여명의 하얼빈 민족투쟁가들이 1909년 9월 27일 한인회를 조직하였다. 1909년 1월 하얼빈 한인은 260여명이다. 이들은 의사 통역 등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 담배말이 등의 단순노동에 종사하였다. 특히 이들 중 전문적으로 대일투쟁에 종사한 한인은 20여명인 것으로 파악된다. 하얼빈 한인사회의 중심인물로 김성백·김옥성·정대호를 들 수 있다. 유동하와 사돈관계인 김성백은 하얼빈의 여러 단체의 장으로 활약하였으며 동흥학교의 재정적 후원자 역할을 담당하였다. 특히 안중근 유족을 자신의 집에 머물게 하였다. 이처럼 그는 하얼빈의 대표적 민족투쟁가였다. 김성옥은 조도선 등의 한인을 자신의 집에 숙박시키는 등 한인 보호에 앞장섰던 인물이다. 그는 김성백과 함께 활동하면서 동흥학교를 후원하고 후학의 양성에도 자금을 아끼지 않았다. 그는 가쓰라 처단계획을 세운 혐의로 국내로 압송되기 하였다. 안중근과 진남포에서 가장 친하게 지낸 정대호는 안중근의 가족을 무사히 하얼빈까지 데리고 왔다. 그는 만주리국민회지방총회 부회장으로 활동하는 등 민족운동에 진력하였다. 1912년 김성옥 등과 함께 국내로 피체되었다. 이와 같이 하얼빈 한인들은 미주와 블라디보스토크의 한인과 깊은 연관 속에서 민족운동을 전개하였음을 이 글로 알 수 있게 되었다. 더불어 안중근과 그의 의거가 하얼빈 한인사회가 민족운동을 전개하는 정신적 에너지가 되었음은 분명한 사실이다.

영문 초록

The formation of the Harbin Korean community was a decisive factor of the construction of Dongcheong Railway. Since 1903, Korean community members have begun to flock into Harbin as a railway worker, and in March 1907,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Consulate General of Harbin, Japan established a Korean-American society centered on Kang Bong-ju, a Japanese-American leader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Hanbin. However, it was disbanded in May 1909 in response to the protests of national activists such as Kim Sung-baek. Harbin Korean national movement was linked with those of America and Vladivostok. The result was a branch of Harbin Public Association on 14 September 1909. Harbin Public Association was mainly made up of workers in their 30s from Hamgyeong-do. The chairman of the Harbin Public Association was Kang Bong-ju, a single-minded proponent, but it seems that the activities were led by national activists such as Kim Sung-baek. As the public association was expanded and reorganized into the National Congress and the Korean People s Congress, Harbin Public Association was also reorganized into the Harbin National Congress and the Harbin Korean People s Association. Meanwhile, Harbin activists felt the necessity of school for the continuation of national movement and the unity of Koreans. As a result, Kim Sung-bak, Kim Sung-ok, Kim Hyung-jae, and Tak Kong-gyu applied for the establishment of Dongheung School on April 18, 1909. In order to maintain Dongheung School and strengthen Korean solidarity, more than 70 Harbin national activists including Kim Sung-baek organized Korean-American Association on September 27, 1909. In January 1909, there were about 260 Koreans, most of whom were engaged in simple labor such as cigarette rolling, except for a few interpreters and doctors. In particular, it is estimated that there are about 20 Koreans who are professionally engaged in the fight against Japan. The main characters of the Harbin Korean community include Kim Seong-baek, Kim Ok-sung, and Jeong Dae-ho. Dong-ha Kim and Sung-baek Kim were the heads of several Harbin organizations and were the financial supporters of Dongheung School. In particular, he made his family stay in his house. Thus he was a representative national activist in Harbin. Kim Seong-ok was the leading figure in protecting Koreans, including staying with Koreans like Jo Do-sun at his home. He worked with Kim Sung-baek to support Dongheung School and spared no money to foster future students. He was deported to Korea on charges of the Katsura execution plan. Jeong Dae-ho, the closest friend of Ahn and Jinnampo, brought Ahn s family to Harbin. He was active in the national movement, serving as vice-president of the Manchurian National Assembly. In 1912, he was captured in Korea with Kim Sung-ok and others. Thus, it can be seen from this article that Harbin Koreans developed a national movement in deep connection with Koreans in the US and Vladivostok. In addition, it is clear that Ahn Jung-geun and his heroic deed became the spiritual energy for the Harbin Korean society.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동청철도 부설과 하얼빈 한인사회의 형성
Ⅲ. 하얼빈 유력 한인의 활동
Ⅳ. 하얼빈 한인사회의 안중근의거 인식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운용(Woon-Yong Shin). (2020).안중근의거 전후 하얼빈 한인사회의 형성과 그 역사적 의의. 한국보훈논총, 19 (4), 101-122

MLA

신운용(Woon-Yong Shin). "안중근의거 전후 하얼빈 한인사회의 형성과 그 역사적 의의." 한국보훈논총, 19.4(2020): 101-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