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재가 치매노인의 주거환경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이용수 581

영문명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Housing Environment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t Home
발행기관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저자명
차수민(Cha Su-Min) 이혜진(Lee Hye-Jin)
간행물 정보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4권 제2호, 95~103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재가 치매노인의 주거환경 관련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재가 치매노인의 맞춤형 주거환경 디자인 개발, 지역사회 재가 치매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 할 수 있는 정책 수립에 필요한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00년부터 2020년까지 연구 선정기준에 따라 Google Scholar, KISS, RISS, 국립중앙도서관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논문을 검색하여 최종적으로 총 5편의 연구를 선정하여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의 질적 수준을 분석한 결과, 모든 연구가 Level Ⅳ(조사연구)에 해당하였으며,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모든 연구가 배우자, 자녀, 며느리 등을 포함한 치매노인의 주부양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대상 연구 5편 모두가 치매노인의 주거환경 현황 및 개선요구를 큰 주제로 하였고, 주요 세부 주제는 치매 유형별 주거환경 개선요구도가 2편(40.0%), 치매증상 단계별 주거환경 개선요구도가 1편(20.0%), 치매 관련 증상별 주거환경 개선요구도가 1편(20.0%), 주거 공간별 주거환경 개선요구도가 1편(20.0%)으로 나타났다. 결론: 향후 효율적인 재가 치매노인의 맞춤형 주거환경 개선안이 도출되기 위해서는 주택개조 지원 제도 및 관련 정책의 변화, 다학제적 접근법에 대한 적용방안 마련 및 검토, 치매노인 주거환경 개선 관련 분야에서의 작업치료사 역량 강화 및 전문성 확보를 위한 다차원적인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housing environment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t home, thereby presenting the research direction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a housing environment design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at home and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tha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t home. Methods : From 2000 to 2020, according to the research selection criteria,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by searching articles registered in the databases of Google Scholar, RISS, KISS, and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finally selecting a total of five studies. Results :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qualitative level of the research, all of the researches corresponded to Level IV(research study), and a questionnaire survey and an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All studies conducted a survey on housewive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ncluding spouses, children, and daughter-in-law. As a result of analysis of main themes, 2 studies(40.0%) of housing environment improvement demands by type of dementia, 1 study(20.0%) on housing environment improvement demands by dementia symptom, 1 study(20.0%) on housing environment improvement demands by dementia-related symptoms, 1 study(20.0%) on the demand for improvement of housing environment by housing space was found. Conclusion : In order to derive an efficient housing environment improvement plan tailored to the elderly with dementia at home, changes in the housing remodeling support system and related policies, preparation and review of application plans for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and improvement of the housing environment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strengthen the competence and expertis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field. Multidimensional research for securing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차수민(Cha Su-Min),이혜진(Lee Hye-Jin). (2020).재가 치매노인의 주거환경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14 (2), 95-103

MLA

차수민(Cha Su-Min),이혜진(Lee Hye-Jin). "재가 치매노인의 주거환경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14.2(2020): 95-1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