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간에 대한 인식과 표현, 미술교육

이용수 19

영문명
Awareness and Expression for Space, Art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이화식(Lee, Wha-Sik)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연구논총』제34권, 191~21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5.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공간 교육을 총체적으로 제시한 것이다. 현재 우리는 공간 속에서 살고공간 속에서 죽는다. 공간은 불가분의 관계 속에서 우리 삶의 일부분이다. 공간에 대한 관점을 갖는 것은 세상을 보는 안목을 갖는 것과 다름이 없다. 이와 같이 공간은 우리 생활에서 중요하며 공간 교육에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우리 교육에서 공간 교육은 분절화되고 구분되어서 서로 다른 영역에서 교육되고 있으며 표면적으로 지도되고있다. 이것은 공간에 대한 바람직한 교육이 아니다. 공간교육은 총체적이고 통합적으로 교육되어야 한다. 그렇기 위해서는 먼저 공간을 인식과 표현으로 구분하였다. 또한공간의 형식을 절대적 공간, 상대적 공간, 관계적 공간으로 구분하였다. 먼저 공간에대한 인식에서 절대적 공간을 설명하기 위하여 아리스토텔레스와 뉴턴의 철학을 빌려제시하였고, 상대적 공간은 라이프니츠와 아인슈타인의 철학을 빌려 제시하였다. 그리고 관계적 공간은 하비와 뢰브의 철학을 빌려 제시하였다. 그리고 공간에 대한 표현에서 절대적 공간을 설명하기 위해 사실주의 미술을 소개하였고, 상대적 공간을 설명하기 위해 입체주의 미술을 소개하였으며, 관계적 공간을 설명하기 위해 표현주의 미술을 소개하여 공간 인식과 공간 표현의 연계성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The plastic arts involve the visual modeling in two, three or four dimensions of a space. In other words, the plastic arts use the method to form a specific shape in a space. This is the difference of the plastic arts compared to other fields of art. The plastic arts focus on how to design the spaces. Ultimately, this is the result from the awareness of space. The special awareness determines different types and forms of modeling. Therefore, the key to modeling is ultimately to be the spatial awareness, not the spatial organization. However, spatial awareness is a very complicated matter. Spaces are recognized different by individual. It will be different by time, region and culture, because it is a physical activity but much influenced by culture. Therefore, in terms of space, the existential analysis should be prioritized. In modern education, however, it is seemed that the spatial awareness (philosophy) and visual description of space (art) are separated matters. The awareness and visual description of a physical space is in an inseparable relation. The living space is not something to be divided,but to be united, recognized and described. Unfortunately, in reality, the schools educate students that the relation of the two concepts is separated. The matter of space should be dealt with upon the metaphysics of the humanities and physical science of the material representation combined. In this regard, the separated content of curriculum should be integrated by the common theme of “space” in the education system.

목차

Ⅰ. 서 론
Ⅱ. 공간에 대한 형이상학적 인식
Ⅲ. 공간에 대한 형이하학적 표현
Ⅳ. 공간 교육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화식(Lee, Wha-Sik). (2013).공간에 대한 인식과 표현, 미술교육. 미술교육연구논총, 34 , 191-217

MLA

이화식(Lee, Wha-Sik). "공간에 대한 인식과 표현, 미술교육." 미술교육연구논총, 34.(2013): 191-2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