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화 교육을 위한 상호텍스트성의 교수법

이용수 19

영문명
Intertextuality and its Pedagogy for Cultural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자명
박정애(Park, Jeong-Ae)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연구논총』제40권, 73~89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2.28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글에서는 프랑스의 기호학자인 롤랑 바르트와 줄리아 크리스테바가 설명한 텍스트와 상호텍스트성을 미술교육에 응용하여 가능한 교수법을 구체화하였다. 이를 위해담론분석과 사례연구가 연구방법으로 사용되었다. 하나의 작품에는 항상 다른 사람들의 영향이 전제가 되며, 그것은 또한 많은 출처의 모자익으로 되어 있다. 다른 사람이만든 미술작품을 그것이 만들어진 배경에서 해석한다는 것은 해석자의 개인적 시각,취향, 사회적 상황과 관련하여 다른 텍스트를 생산하게 한다. 따라서 미술수업을 감상과 실기를 하나로 연결시킬 경우 효율적인 교수법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럴 경우 학생들은 미술이 삶의 표현이면서 삶을 이해할 수 있는 수단임을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다. 특별히 상호텍스트성의 교수법은 학생들의 관심사와 이슈 등 그들의 삶의 텍스트를 은유와 상징의 방법으로 또 다른 텍스트를 쓰도록 돕기 때문에 융합교육의 효율적인 페다고지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미술수업에서 상호텍스트성의 교수법의 도입은삶의 표현과 삶의 이해를 위한 문화교육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le pedagogy of text and intertextualitywhich was explored by French semiotics such as Roland Barthes and JuliaKristeva. The study uses discourse analysis and case studies. The studyreveals that interpreting other person’s art making is to think and toredefine each of the student as individuals who live in Korean society in the21st century. In other words, because artwork can make us thinkcontinuously, forming our own consciousness, and to reject the fixed codeand change, it can be a means reestablish ourselves. In this way, tointerpret the artist, artwork in relation to their context, is to produceanother text, by relating to the interpreter’s personal perspective, taste, andsocial situation. The findings were that my students, who initially thoughtart making and appreciation as well as the making of art and their lives tobe a separated, could integrate art making and interpretation through thereading and writing of text. Also, they could contain the interests and issuesof their own lives in the texts. By investigating social, cultural, and genderroles of the Korean society in which they live, they could make visual unitswhich are based on Korean popular and traditional cultures. By doing so, mystudents could understand that art is essentially metaphoric and symbolicvisual langage. Therefore they could write visual texts using formal,expressive, and symbolic elements, and understand the similarities anddifferences by searching for texts from different cultures and differentperiod. In this way, art making is visual language of life can lead tounderstand the students to understand the world in which they live.

목차

Ⅰ. 서 언
Ⅱ. 창작으로서의 미술과 교수법
Ⅲ. 창작과 갈등하는 텍스트
Ⅳ. 상호텍스트성과 교수법
Ⅴ. 사례 연구
Ⅵ.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정애(Park, Jeong-Ae). (2015).문화 교육을 위한 상호텍스트성의 교수법. 미술교육연구논총, 40 , 73-89

MLA

박정애(Park, Jeong-Ae). "문화 교육을 위한 상호텍스트성의 교수법." 미술교육연구논총, 40.(2015): 73-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