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의 정당화

이용수 132

영문명
The Justification of Education in the View of Educational Ethics
발행기관
한국도덕교육학회
저자명
임병덕(Byung-Duk Lim)
간행물 정보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20권 제1호, 1~2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8.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피터즈의 ‘선험적 정당화’는 교육의 내재적 정당화를 위한 획기적인 논의 형식으로서, 교육의 정당화에 대한 요구 자체를 논리적으로 분석하여 교육의 실천과 그 가치의 ‘내재적’ 관련을 밝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선험적 정당화는 교육이 그 자체로서 가치를 가진다는 것을 받아들이도록 논리적 구속력을 발휘하면서도 그 가치에 관한 ‘실질적인’ 설명은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와 함께, 선험철학에서 논의 형식을 빌어오면서도 교육의 선험적 차원은 도외시한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메타프락시스적 관점은 선험적 정당화의 이러한 난점을 극복하는 대안적 정당화의 방안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주목의 대상이 된다. 메타프락시스적 관점에서 보면, 교육의 정당화는 철학적 윤리학이 아니라 그것과 구분되는 ‘교육윤리학’을 기반으로 삼아야 하며, 교육윤리학을 기반으로 시도되는 교육의 정당화는 심성함양의 가치를 설명하는 윤리학 이론으로서의 의미를 가지는 동시에 교육의 가치를 확립하는 교육실천으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e instrumental justification betrays the critical defect that it is incompatible with the very concept of education, in spite of its being the most all-pervading argument for justification of education. Peters opened the possibility of justifying education without recourse to the instrumental justification by introducing the transcendental argument for justification of education. This revised Kantian form of argument was to be designed to make explicit the presupposition of the demand for justification and to show the logical necessity of accepting the intrinsic values of education. Though it must be the most refined form of justification developed in the history of western education, Peters transcendental justification cannot avoid some severe criticisms, in that it cannot satisfy the demand of explicating the values positively because of its being a purely formal argument. It means that Peters transcendental justification needs to be revised fundamentally. We can find a most promising model of its alternative in Metapractical approach to education and ethics as educational theory. In the view of educational ethics , education can be construed as justification in its true sense, since its own value is to be established in the temporal processes of educational practice. Metapractical justification of education can be interpreted both as educational theory to explain how that establishment is possible and as educational practice to provide the self-cultivating experience to those who participate in it.

목차

Ⅰ. 서론
Ⅱ. 도구주의적 정당화
Ⅲ. 선험적 정당화
Ⅳ. 메타프락시스적 정당화:교육윤리학의 관점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병덕(Byung-Duk Lim). (2008).교육의 정당화. 도덕교육연구, 20 (1), 1-26

MLA

임병덕(Byung-Duk Lim). "교육의 정당화." 도덕교육연구, 20.1(2008): 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