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확장적 교육환경으로서의 디지털 시대의 참여적 박물관

이용수 766

영문명
Participatory Museums in the Digital Era as the expanding educational environment : A Study on Participatory Experience Environment through Case Study on the Use of Social Media and Games
발행기관
한국문화교육학회
저자명
김혜인(Hye-In, Kim)
간행물 정보
『문화예술교육연구』제15권 제5호, 195~21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0.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박물관계는 유례없는 휴관과 함께 디지털환경 및 활동구축에 집중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 포스트코로나시대가 일상적 활동 및 물리적 공간활동을 선택하는 기준을 변화시킬 것이란 전망 속에, ‘참여’의 개념과 단계설계의 재구성이 중요하게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향유방식의 변화를 반영한 새로운 ‘참여적 박물관’ 의 필요를 전제로 하여, 시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개인화된 체험과 사회화된 참여를 제공하는 박물관 4.0세대의 모습을 어떻게 실천할 수 있을지에 관한 것이다. 그 사례로 미국 게티센터의‘#gettymuseumchallenge’, 영국 브리스톨박물관의 ‘Hidden Museum’사례를 선정하여 니나 사이몬의 참여의 5단계 모델‘과 마크 윌하이머의 ’박물관 4.0세대 모델‘의 요소들이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두 사례는 모두 내용과 형식의 상이에도 불구하고, 참여적 박물관의 모습과 역할을 설정하는 방식에서 명확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개인적 참여와 사회적 참여의 융합, 박물관과 관람객 간/관람객 과 관람객 간의 상호관계 설정, 시공간의 제한없는 확장적인 박물관 경험의 기회 제공의 모습을 보여준 사례를 보여준다. 이를 통해 참여적 박물관의 역할과 요건을 이루는 기준, 디지털 시대와 관계형성문화의 변화의 흐름 속의 참여적 박물관의 개념과 조건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Since the Social Distancing is in place across the world consequent to the global outbreak of COVID-19, museums are forced to be closed, not knowing when they will reopen. With limited options to choose from, museums inevitably have to focus on setting up a dedicated digital environment and developing digital-based activities. Particularly, in an outlook that people will be subject to new standards for choosing physical spaces for their daily activities in the post-corona era, it has been considered critical not only in our society but also in the museum community to redefine the concept of participation and redesign the stages of participation and engagement. On the premise that a new approach of participatory museum is necessary to go with the advancement of digital technologies and changes in the ways of enjoying such technologies, this study is intended to figure out what it takes to develop and settle an environment for Museum 4.0 that will provide customized experiences and socialized participation free from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This study reviews 2 cases, which are #gettymuseumchallenge by Getty Center in the United States that exemplifies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media-based participatory museums which started to grow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and Hidden Museum by Bristol Museum in the United Kingdom that shows how the concepts of Nina Simon s Five Stages of Engagement and Mark Walhaimer s Museum 4.0 are applied in practice to museums. Although these 2 cases differ from each other in content and format, they have clear commonalities with respect to how participatory museums should look like and what such museums should do, which can be summarized as Converge personal and social participation; Set relationships not only between the museum and visitors but among visitors;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expansive museum experience free from time and space constraints. With these cases,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criteria for roles and requirements of participatory museums so as to examine the concept and prerequisites for such museums in the digital era in which our relationship-forming culture is chang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참여적 박물관의 실제
Ⅴ. 참여적 박물관의 역할 및 조건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혜인(Hye-In, Kim). (2020).확장적 교육환경으로서의 디지털 시대의 참여적 박물관. 문화예술교육연구, 15 (5), 195-218

MLA

김혜인(Hye-In, Kim). "확장적 교육환경으로서의 디지털 시대의 참여적 박물관." 문화예술교육연구, 15.5(2020): 195-2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