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상근의 연가곡 연구(1): 한국적인 정체성을 표현하는 완전음정의 화음

이용수 76

영문명
A study of song-cycles by Lee Sang keun(1): perfect interval chord representing Korean identity
발행기관
한국음악교육공학회
저자명
이내선(Nae-sun Lee)
간행물 정보
『음악교육공학』제44호, 217~239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7.16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근대 창작음악에서 한국적 정체성을 표현한 이상근의 음악어법을 화성재료의 관점에서 고찰한 것이다. 분석의 대상은 연가곡 <가을 저녁의 시>, <아가 1>, <아가 2>로 범위를 정하고, 화성재료에 대한 분석은 5도권의 음계구조에서부터 출발하여 논의하였다. 이상근은 당시의 음악이 수용한 서양의 기법을 한국적인 소재를 통해 구현하면서 화성어법은 자신의 독창성이 강조되는 민족적인 현대음악을 추구했다. 음의 재료에서는 첫째, 기본적인 5음음계에서 완전음정의 화음을 구성하지만 주로 이를 7음음계 맥락 안에서 사용하다. 이러한 양상은 조성의 틀을 갖고 있는 음악에서 기능화성의 추진력을 순간 소멸시키거나 조성을 모호하게 만드는 요소로 작용하면서 조성과 반조성의 양면성을 보여준다. 둘째, 화성진행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 구조는 방향성 없는 완전음정의 화음으로 채워진다. 셋째, 다른 음계가 부가되면서 혼합음계을 만들고 이를 통해 변화화음들의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해 음의 사용이 12음으로 확장된다. 넷째, 5음음계의 맥락에서는 선율의 형태 역시 새야화현의 음정구조처럼 완전음정의 분할을 보여준다. 새야화현 화음이 반음(단2도)를 포함하지 않는 5음음계의 맥락 안에서 전개되는 만큼 화음이 이끌리는 추진력은 음계에 내포된 속성이 아니다. 따라서 이 5음음계를 7음음계의 맥락 안에서 실현하면서 기능적인 해결 또는 화성진행을 의도하거나 의도적으로 거부하는 양면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의 이러한 화성어법은 전통 속에 계속해서 남겨진 장단조의 조성체계와 그 안에서 고착화된 기능화성의 언어를 나름 탈피할 수 있는 작곡가의 독창적인 의지이며, 민족적 현대성을 추구하는 작곡가에게 미래지향적인 대안이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sidered the musical language of Lee Sang keun, who expressed his Korean identity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music compos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harmonic materials. The scope of the analysis is set for song-cycles Poetry of Autumn Evening”, Aga 1”, and Aga 2”, and the analytical discussion of the harmonic ingredient starts from the scale. Lee Sang keun implemented the Western techniques he accepted through Korean materials, while his harmonic language pursuing national modern music emphasizes his originality. In the pitch material, other scale was added to the basic five-note scale creating a mixed scale, and through this the interpretation of altered chords is possible while extending pitch material to twelve notes. In the context of the five-note/pentatonic scale, the shape of the melody also shows the division of the perfect interval, just like the musical structure of the SaeYa harmony. As the chord of SaeYa harmony develops within the context of the five-note/pentatonic scale that does not include a half note (minor second interval), the driving force is not a characteristic that is inherent in the scale. Therefore, this five-note scale is realized within the context of the seven-note scale, demonstrating an ambilaterality in which a functional solution or harmonic progression is intended or intentionally rejected. This kind of harmonic language was a future-oriented alternative for the composer who sought national modernity, as well as the creative willness of him who could break away from the system of major/minor and fixed language of functional harmony which was left in western music tradition. SaeYa harmony perfect interval chord, Lee Sang keun’s song cycle, structure of scale, extension of scale.

목차

Ⅰ. 서론
Ⅱ. 완전음정의 화음과 음계의 확장
Ⅲ. 가곡분석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내선(Nae-sun Lee). (2020).이상근의 연가곡 연구(1): 한국적인 정체성을 표현하는 완전음정의 화음. 음악교육공학, (44), 217-239

MLA

이내선(Nae-sun Lee). "이상근의 연가곡 연구(1): 한국적인 정체성을 표현하는 완전음정의 화음." 음악교육공학, .44(2020): 217-2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