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혁신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이용수 1388

영문명
A Qualitative Study on the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Process of Innovation Schools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이주연(Lee, Joo-Youn) 이경언(Lee, Kyung-Eon) 이민형(Lee, Min-Hyoung) 임유나(Lim, Yoo-Na)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58권 제2호, 191~22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혁신학교의 교육과정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편성·운영되며, 그 과정에서 학교 구성원들이 경험한 고민과 갈등은 무엇인지 분석함으로써, 혁신학교 지원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 중, 고 9개 혁신학교에 대한 사례연구를 실시하면서 교원, 학생, 학부모, 총93명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1) 혁신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방향, (2) 혁신학교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절차 및 방법, (3) 혁신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기반, 세 가지 주제로 분석하였다. 첫째, 혁신학교 교사들은 혁신학교가 추구하는 철학이나 가치를 중요하게 고려하며 이를 학교 교육과정에 ‘명시적이면서 의도적으로’ 또는 ‘암묵적으로’ 반영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혁신학교 철학과 관련하여 생각의 차이나 내면화 정도에 따라 교사 간 혹은 교사와 학부모 간에 갈등과 긴장이 존재하기도 하였다. 둘째, 혁신학교 교육과정은 ‘전체’ 교사들이 함께 토론하고 협의하며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주목되었으며, 교육과정의 설계와 운영, 심지어 교육과정에대한 평가가 서로 단절된 과정이기보다는 서로 역동적이고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는 특징을 보였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교사들은 학교 구성원들 간에 교육 철학 및 가치관의 충돌로 인한 문제, 의견을수렴하고 합의해나가는 과정에서 의사소통의 어려움, 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 차이로 인한 문제, 학생및 학부모의 의견 수용 범위에 대한 고민들을 경험하고 있었다. 셋째, 혁신학교에서 이러한 방식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이 가능하도록 한 기반으로서, 학교 내 민주적 의사 결정 체제 및 문화, 활발한 교사학습공동체의 운영, 교육활동 중심으로 업무 체제 개선 노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혁신학교 교육과정의 편성·운영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들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for supporting Innovation School by analyzing how the curriculum of Innovation School is organized and implemented through what process and what concerns and conflicts school members experienced. To achieve the purpose, a total of 93 participants, including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from nine Innovation School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participated in the case stud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in Innovation Schools emphasized the philosophies and values pursued by Innovation Schools and applied them ‘explicitly and intentionally’ or ‘implicitly’ in their school curriculum. However, the conflicts and tensions existed between teachers or teachers and parents because of the differences in thought and the varied degree of internalization related to the philosophies of Innovation Schools. Second, the curriculum of Innovation School has drawn attention, since ‘all teachers’ organize and implement their school curriculum together through discussions and agreements. However, in the process, teachers encountered some challenges. Third, to build the foundation for a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school system and culture for democratic decision making, the active implementation of professional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and the reform of the work system focused on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policy implications to support the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Innovation Schools.

목차

I. 서론
Ⅱ. 혁신학교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주연(Lee, Joo-Youn),이경언(Lee, Kyung-Eon),이민형(Lee, Min-Hyoung),임유나(Lim, Yoo-Na). (2020).혁신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교육학연구, 58 (2), 191-221

MLA

이주연(Lee, Joo-Youn),이경언(Lee, Kyung-Eon),이민형(Lee, Min-Hyoung),임유나(Lim, Yoo-Na). "혁신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교육학연구, 58.2(2020): 191-2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