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발달단계적 분석

이용수 875

영문명
Death Education Program by Developmental Stage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이나영(Lee, Na young) 유지영(Lyu, Ji young)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58권 제1호, 187~219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3.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국내 연구물들을 발달단계별로 구분하여 체계적으로고찰하는데 있다. 분석대상은 2004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 학술지와 학위논문에 게재된 논문들 가운데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하여 사전·사후로 효과성을 검증하고, 프로그램의 구성내용을 표기한 총 34편의 연구논문으로,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회기수 및 회기당 시간은 아동기의 경우 제각각이었고, 청소년기는5회기, 8회기, 회기당 120분, 360분, 성인기는 10회기, 12회기, 회기당 120분, 180분, 노년기는 12회기, 8회기, 회기당 시간은 120분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측정도구를 살펴본 결과, 아동기는 6종의 측정도구를 활용했으며, 3편에서 모두 죽음불안척도를 활용하였다. 청소년기는 10종의 측정도구 중 죽음불안척도(5회), 죽음에대한 태도(4회), 생의 의미(4회), 임종간호태도(3회)가 주로 활용되었다. 성인기는 18종의 측정도구 중죽음불안척도(5회), 삶의 의미(4회)가 주로 활용되었다. 노년기는 18종의 측정도구 중 죽음불안척도(8 회), 자아통합감(4회), 죽음에 대한 인지적 수용(3회), 삶의 질(3회)이 주로 활용되었다. 셋째,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구성내용을 살펴본 결과, 아동기는 주로 죽음에 대한 인지향상과죽음불안을, 청소년기는 죽음교육의 필요성, 죽음에 대한 이해, 법적 이슈인 유언, 상속, 장례의례 기획, 버킷리스트 작성을, 성인기는 청소년기 구성내용 외에도 삶과 죽음의 의미, 의료결정과 호스피스에 대한 이해를, 노년기는 노년의 삶, 비탄교육과 상실치유, 노화와 질병에 대한 이해를 다루는 내용이 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발달단계별 죽음에 대한 인식과 이해의 정도 및 발달과업에 맞는 맞춤형 프로그램 구성, 발달단계별 이해력을 돕기 위한 교수법 개발이나 활용도구의 첨가 등을 고려해 볼 것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literature on death education program by developmental stages. Among the theses, dissertations, and academic journals published between 2004 to 2018, 34 articles which met the selection criteria were analyz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sessions and the time per session were not consistent in childhood, but in other developmental stages following were found at the most (adolescence - 5 or 8 sessions, 120 or 360 minutes; adulthood - 10 or 12 sessions, 120 or 180 minutes; older adulthood - 12 or 8 sessions, 120 minutes). Second, six types of measures were used in childhood. In adolescence, death anxiety (5 times), attitudes toward death (4 times), meaning of life (4 times), and 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3 times) scale were mainly used. In adulthood, death anxiety (5 times) and meaning of life (4 times) scale were mainly used. In older adulthood, death anxiety (8 times), self-integration (4 times), cognitive acceptance of death (3 times), and quality of life (3 times) scale were mainly used.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ntents of the death education programs, improving recognition of death and death anxiety were prevalent in childhood. In adolescence, the need for death education, understanding death, legal wills, inheritance, funeral ritual planning, and bucket list planning were prevalent. In adulthood, the meaning of life and death, medical decisions, and understanding of hospice were prevalent. In older adulthood, elderly life, loss and healing, and understanding of aging and disease were prevalent. Based on the study results, considering the degree of death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death at each stage of development, and customize death education programs suitable for developmental tasks were suggested.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나영(Lee, Na young),유지영(Lyu, Ji young). (2020).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발달단계적 분석. 교육학연구, 58 (1), 187-219

MLA

이나영(Lee, Na young),유지영(Lyu, Ji young).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발달단계적 분석." 교육학연구, 58.1(2020): 187-2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