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광주지역 중학생의 김치에 대한 인식과 섭취실태에 관한 연구
이용수 54
- 영문명
- Study on the Perception and Intake of Kimchi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wangju Area
- 발행기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 저자명
- 권수아(Gwon, Su-A) 정난희(Jung, Lan-Hee)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29권 제4호, 133~14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광주지역에 거주하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김치에 대한 인식과 섭취실태에 대해 조사하고 김치 인식도에 따른 김치 섭취의 차이를 분석하여, 학생 스스로 김치에 대해 재인식 할 수 있도록 하고, 학생들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에 도움을 주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광주지역에 거주하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374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중학생의 김치 인식도는 1학년은 4.10점, 3학년은 3.92점으로 1학년이 3학년보다 김치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p<0.001). 중학생의 김치 기호도는 ‘김치를 좋아하는 정도’(p<0.001), ‘김치를 먹지 않는 이유’(p<0.05)에서 1학년과 3학년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김치를 좋아하는 정도’에서 김치를 좋아하는 학생은 1학년이 81.7%, 3학년이 59.8%로 1학년이 김치를 더 좋아함을 알 수 있었다(p<0.001). 중학생의 김치 섭취 실태는 ‘김치 섭취 횟수’(p<0.05), ‘한번에 섭취하는 김치 양’(p<0.05) 항목에서 1학년과 3학년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김치 섭취 횟수는 1학년은 하루에 한번 집에서 섭취하는 비율이 높았고, 3학년은 하루 3회 이상 섭취하는 비율이 높았다(p<0.05). 중학생의 김치 교육은 ‘김치 권유에 대한 나의 태도’(p<0.05), ‘김치 섭취 교육의 필요성’(p<0.05), ‘김치 정보를 듣고 좋은 음식이라고 생각한 적의 여부’(p<0.001), ‘희망하는 김치 교육 방법’(p<0.001), ‘김치 섭취를 높이기 위한 방법’(p<0.05)에서 1학년과 3학년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중학생의 김치 인식도에 따른 김치 기호도는 ‘김치를 좋아하는 정도’(p<0.001), ‘김치를 좋아하는 이유’(p<0.05), ‘김치를 싫어하는 이유’(p<0.05)에서 김치 인식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김치 인식도가 높을수록 기호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고, 김치 특유의 맛을 좋아하였다. 김치 인식도에 따른 김치 섭취 실태는 ‘김치 섭취 횟수’(p<0.001), ‘한번에 섭취하는 김치 양’(p<0.05)에서 김치 인식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김치 인식도가 높을수록 김치 섭취 횟수와 섭취량도 더 많은 경향을 보였다. 김치 인식도에 따른 김치 교육은 ‘김치 권유에 대한 나의 태도’(p<0.05), ‘김치를 담근 경험’(p<0.05), ‘김치 섭취 교육의 필요성’(p<0.001), ‘김치 정보를 듣고 좋은 음식이라고 생각한 적의 여부’(p<0.001)에서 김치 인식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김치 인식도가 높을수록 김치를 권했을 때의 태도 변화가 긍정적이었고, 김치를 담근 경험이 있는 학생일수록 인식도 높았으며 김치 섭취의 교육도 필요하다고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intake of Kimchi in middle school students in Gwangju area and analyzed the difference of Kimchi intake according to Kimchi perception level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middle school students develop proper dietary behavior.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iddle school students in Gwangju area and 374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Kimchi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4.10 for first grade and 3.92 for third grad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between first grade and third grade. Second, the preference of Kimchi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grad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irst grade and third grade at ʻKimchi preferenceʼ (p<0.001) and ʻReasons for not eating Kimchiʼ (p<0.05) respectively. 81.7% in the first graders and 59.8% in the third graders, and the first graders more preferred Kimchi than the third graders. Third, the pattern of Kimchi intake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grad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irst grade and third grade at ʻFrequency of Kimchi intakeʼ (p<0.05) and ʻAmount of Kimchi taken at one timeʼ (p<0.05) respectively. Fourth, the education of Kimchi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grad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irst grade and third grade at ʻMy attitude toward Kimchi recommendationʼ (p<0.05), ʻNecessity of Kimchi intake educationʼ (p<0.05), ʻWhether you think it is good food for Kimchi informationʼ (p<0.001), ʻPreferred method for the Kimchi educationʼ (p<0.001) and ʻMethods for increasing Kimchi intakeʼ (p<0.05) respectively. Fifth, the preference of Kimchi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the degree of Kimchi recogni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t ʻKimchi preferenceʼ (p<0.001), ʻReasons for liking Kimchiʼ (p<0.05) and ʻReasons for disliking Kimchiʼ (p<0.05) respectively. The pattern of Kimchi intake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the degree of Kimchi recogni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t ʻFrequency of Kimchi intakeʼ (p<0.001) and ʻAmount of Kimchi taken at one timeʼ(p<0.05) respectively. The the education of Kimchi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the degree of Kimchi recogni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t ʻMy attitude toward Kimchi recommendationʼ (p<0.05), ʻThe experience of making Kimchiʼ (p<0.05), ʻNecessity of Kimchi intake educationʼ (p<0.001) and ʻWhether you think it is good food for Kimchi informationʼ (p<0.001) respectivel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및 고찰
Ⅴ. 요약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소년 대상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 청소년의 공감능력과 가족건강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중・고등학생의 가족식사와 인성특성에 관한 연구
- 가정과 교육에서의 부모교육 - 중・고등학교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
- 가족문화와 가치관 교육의 관점에서 본 저출산의 원인 및 극복 방안 탐색
- 진로교육 집중학년・학기제에서 진로개발역량 강화를 위한 교과통합 진로교육 방안 연구 - 2015 개정 기술・가정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 에코세대의 연애 및 결혼, 출산 및 양육의 자신감에 대한 결정요인 - 미혼 취업자 1982~1992년생을 중심으로 -
- 광주지역 중학생의 김치에 대한 인식과 섭취실태에 관한 연구
- 가족식사가 식생활태도, 학업성취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경기도 고양시 소재 중학생을 중심으로 -
- 고등학생을 위한 가정교과 기반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 중학교 가정교과서의 우유 교육 내용 분석과 중학생의 우유・유제품 섭취 실태 및 영양지식 조사 - 충남 공주시 중학생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교육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AleF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학습 플랫폼의 적응적 기능 분석
- 고등학생의 디지털 역량 유형에 따른 학습 및 심리 특성 차이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