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각혐오자극으로 유발된 대뇌 피질 활성도 변화

이용수 44

영문명
The Change of Cortical Activity Induced by Visual Disgust Stimulus
발행기관
대한수면의학회
저자명
정욱(Wook Jung) 박두흠(Doo-Heum Park) 유재학(Jae-hak Yu) 유승호(Seung-Ho Ryu) 하지현(Ji-Hyeon Ha) 신병학(Byoung-Hak S
간행물 정보
『수면정신생리』제20권 제2호, 75~81쪽, 전체 7쪽
주제분류
의약학 > 정신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 적 : 혐오 자극에 대한 뇌의 기능적 영상 연구에 있어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양전자방출단층촬영 등의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있으나 저해상 전자기 단층촬영(low resolution brain electromagnetic tomography) 분석을 이용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피험자들에게 시각적 혐오자극을 준 후 나타나는 대뇌 피질의 활성변화를 저해상 전자기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 법 : 총 45명($27.1{\pm}2.6$ 수식 이미지세)의 건강한 젊은 성인남녀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국제정서사진체계를 사용하여 중립자극에서 4장, 신체훼손과 관련된 혐오자극에서 4장의 사진을 뽑아 피험자들에게 각 30초간 보여주면서 뇌파를 측정하였다. 저해상 전자기 단층촬영분석을 시행하여 중립자극에 대비해 혐오자극에서의 변화된 전류밀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혐오시각 자극을 받는 동안 피험자 모두 불쾌감, 놀람, 스트레스를 받았다고 보고하였다. 저해상 전자기 단층촬영 분석상 세타파에서 좌측 전두엽의 위이마이랑(BA10)과 중간이마이랑(BA10, 11) 영역에서 유의미한 전류밀도의 감소를 보이는 복셀 클러스터가 관찰되었다. 이 복셀 클러스터는 총 11개의 복셀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의미한 전류밀도(p<0.05)의 감소를 나타내는 t값의 임계값은 -1.984이었다. 남녀 간의 혐오 반응 정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이 연구의 결과인 시각 혐오자극에 의한 배외측 전전두엽의 활성은 혐오 정서의 조절과 관여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re are a lot of studies that analyz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emotion of disgust and the functional brain images using fMRI and PET. But studies using sLORETA (standardized low resolution brain electromagnetic tomography) almost do not exist.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of the emotion of disgust and the cortical activation using sLORETA analysis. Methods: Forty five healthy young adults ($27.1{\pm}2.6$ 수식 이미지 years) participated in the study. While they were watching 4 neutral images and 4 disgusting images associated with mutilation selected from the 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 (IAPS), participants EEGs were taken for 30 seconds per one picture. Through these obtained EEG data, sLORETA analysis was performed to compare EEGs associated with neutral and negative images. Results: During looking for visual disgusting stimulus, all participants reported unpleasantness, arousal and stress. In sLORETA analysis, the decrease of current density in theta wave was shown at left frontal superior gyrus (BA10) and middle gyrus (BA10, 11). This voxel cluster consists of a total of 11 voxels and the threshold of t value indicat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current density (p<0.05) was -1.984.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in the degree of being disgusted by the stimuli. Conclusion: This finding may suggest that the activation of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might be associated with regulating disgust emotion.

목차

서 론
연구 대상 및 방법
결 과
고 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욱(Wook Jung),박두흠(Doo-Heum Park),유재학(Jae-hak Yu),유승호(Seung-Ho Ryu),하지현(Ji-Hyeon Ha),신병학(Byoung-Hak S. (2013).시각혐오자극으로 유발된 대뇌 피질 활성도 변화. 수면정신생리, 20 (2), 75-81

MLA

정욱(Wook Jung),박두흠(Doo-Heum Park),유재학(Jae-hak Yu),유승호(Seung-Ho Ryu),하지현(Ji-Hyeon Ha),신병학(Byoung-Hak S. "시각혐오자극으로 유발된 대뇌 피질 활성도 변화." 수면정신생리, 20.2(2013): 75-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