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STEAM 교육의 교수역량 평가지표에 대한 중등학교 교사의 인식 분석

이용수 92

영문명
Analysi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on Evaluation Indicators for Teaching Competency in STEAM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기술교육학회
저자명
김방희(Bang-Hee Kim) 김진수(Jin-Soo Kim)
간행물 정보
『한국기술교육학회지』제16권 제1호, 122~140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4.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중등학교의 STEAM 교육에서 요구되는 교수역량 평가지표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목적을 가진다. 요인분석, 내용 타당도, 수렴타당도, 판별타당도 등의 타당화 과정을 거친 교수역량 평가지표를 활용하여 STEAM 교육 유경험 교사 2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영역별 STEAM 교육 교수역량의 중요도 인식 반응분포에서는 ‘STEAM 수업 관련 교과 내용의 명확한 이해’, ‘실생활과 관련된 구체적 상황제시’, ‘학습자의 능동적 학습 활동 유도’, ‘발문을 통한 수업 참여 진단 및 피드백 능력’, ‘교수매체 선정/활용 능력’, ‘다양한 교과 지식을 융합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의 활용 능력’, ‘지속적인 자기계발’ 항목이 각 평가영역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STEAM 수업 유경험 교사는 교수역량 평가지표 중 ‘개인적 자질’, ‘교수-학습 방법’, ‘학습 참여 유도’ 영역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교과내용 지식’, ‘학습자 이해’, ‘학습자 평가’ 영역은 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교수-학습 방법’, ‘학습 참여 유도’, ‘개인적 자질’ 영역은 학교 급, 담당교과, 수상경험 등 대부분의 변인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중요하게 인식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개인적 자질’ 영역의 중요도 인식은 대부분 가장 높은 평균값을 보여 STEAM 수업에서 가장 중요시 하는 요소로 분석되었다. 셋째, 지속적인 STEAM 수업 적용, 교사 연구회 참여 경험이 있는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학습 환경 및 상황’ 영역에서 교수역량 평가지표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STEAM 수업 적용 횟수가 많은 교사와 교사 연구회 경험이 풍부한 교사는 STEAM 수업을 위한 교수매체 선정/활용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높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cognition on evaluation indicators for teaching competency required in STEAM education at secondary school. By using evaluation indicators developed and validated, a survey was performed targeting 208 teachers having the experience of STEAM education.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as for the importance of teaching competency required in STEAM education by evaluation area, ‘clear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content related to STEAM education’, ‘suggestion of specific circumstances related to real life’, ‘induction of learners’ active learning activities’, ‘diagnosis and feedback abilities for participation in class through questioning’, ‘abilities to select/utilize teaching mediums’, ‘abilities to utilize the methods of comprehensively evaluating various pieces of textbook knowledge’, and ‘constant self-development’ turned out to be recognized the most important in each evaluation area. Second, as for school grade, teaching subjects, the experience of being awarded, and results in research contests, ‘teaching-learning methods’, ‘induction of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individual talents’ were recognized important. And, three areas were important teaching competency in STEAM classes, and ‘individual talents’ were most important evaluation area among them. Third, group of STEAM education application per month consistently, and teachers research society, put emphasis on evaluation area such as ‘learning environments and circumstances’. Especially, applied STEAM class frequently and rich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eachers research society showed a high importance recognition in selecting of instruction material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방희(Bang-Hee Kim),김진수(Jin-Soo Kim). (2016).STEAM 교육의 교수역량 평가지표에 대한 중등학교 교사의 인식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6 (1), 122-140

MLA

김방희(Bang-Hee Kim),김진수(Jin-Soo Kim). "STEAM 교육의 교수역량 평가지표에 대한 중등학교 교사의 인식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6.1(2016): 122-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