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관리합리성 관점에서 본 문화예술교육 과제

이용수 36

영문명
Tasks of Culture & arts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governmentality
발행기관
한국문화교육학회
저자명
김세훈(Se-Hun Kim)
간행물 정보
『문화예술교육연구』제7권 제1호, 21~4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3.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사회이론적 관점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살펴보고 그 현실태와 문제들이 이러한 관점에서 어떻게 분석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쓰여졌다. 이를 위해 푸코의 관리합리성과 하버마스의 문화적 공공영역 논의를 빌려오면서, 문화예술교육이 우리사회의 관리합리성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이며, 현실적으로 미흡하지만적어도 기획이나 구상에 있어서는 문화적 공공영역으로서의 성격을 강하게 내포하고 있다고 제시하였다. 이러한 인식에 기반하여 이 논문에서는 현재 문화예술교육을 둘러싸고 제기되고 있는 문제들이 외형적으로는 문화예술교육의 실행이나 제공상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과 관련된 것처럼 보이지만, 심층적으로는 문화예술교육이 주목하고 있는 행위자 개인에 대한 관리기술(art of government) 미흡과 문화적 공공영역으로서의 자기인식 부족에서부터 비롯된다고 지적하였다. 사회이론적 기반에 대한 이러한 검토가 문화예술교육 전반을 설명해주는 것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차원에서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실천적 관심에 주목하고 이를 성취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는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For the last 10 years, the culture & arts education has been rapidly extended in Korea. The issues relating to it have been generally dealt with in the artistic views. This paper tries to explore culture & arts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theory and to suggest its social meaning based on the practical interest (praktische Interesse). For the purpose, it introduces the notions of governmental rationality by Foucault and cultural public sphere by Habermas. As a collective mentality, the governmental rationality focuses on individuals as an object whose capabilities should be strengthened. Regarding this concern, it develops various tactics, methods and techniques which aim to shape and guide their wishes, attitudes and activities. Cultural public sphere functions as a place for private individuals to transform into the public. The notions provide meaningful tools for the examination on the culture & arts education. The education represents governmental rationality in Korea society, which tries to achieve social changes by affecting individuals thoughts, attitudes and activities. It also concerns the public who has self-control ability to contribute for the changes. From the point of view, the culture & arts education is not only artistic practice but also social practice. Therefore, many issues around the education, it argues, should be re-explored from the social-theoretical perspective and suggestions for it should be conceived relating to the governmental rationalty.

목차

Ⅰ. 서론
Ⅱ. 문화예술교육: 이론적 기반의 탐색
Ⅲ. 관리합리성 관점에서 본 문화예술교육의 문제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세훈(Se-Hun Kim). (2012).관리합리성 관점에서 본 문화예술교육 과제. 문화예술교육연구, 7 (1), 21-46

MLA

김세훈(Se-Hun Kim). "관리합리성 관점에서 본 문화예술교육 과제." 문화예술교육연구, 7.1(2012): 21-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