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드라마 분석을 통한 예비 초등 교사들의 시각적 문해력 향상 방안 연구

이용수 54

영문명
A Study on the Way to Improve Pre-service Teachers’ Visual Literacy through an Activity Analyzing a Soap Opera
발행기관
한국문화교육학회
저자명
김해경(Hai-Kyung Kim)
간행물 정보
『문화예술교육연구』제9권 제6호, 98~112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1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대인들이 생활 속에서 끊임없이 접하게 되는 시각 이미지들은 기존의 미술교육에서 다루어 오던 이미지들과 제작 의도부터 다르다. 현대의 시각 이미지들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게 되면 그 안에 담겨 있는 상업적 의도나 문화, 성 등에 대한 편견들을 그대로 내면화하게 될 위험이 있다. 이러한 시각 이미지들을 올바르게 분석하고 해석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미술교육에서 미술품을 감상하고 비평할 때 사용해왔던 관점과는 다른 관점이 필요하다. 2007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부터 시각문화는 미술과 교육과정의 일부가 되어 초등학교에서 교육되고 있다. 현대의 시각 이미지들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것을 지도해야 할 예비 초등 교사들의 시각적 문해력에 대해 연구하여 그들의 시각적 문해력 향상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초등 교육에서의 시각문화 미술교육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예비 초등 교사들이 시각 이미지를 어떻게 해석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시각 이미지에 기초하여 TV 드라마 속 여자 주인공의 캐릭터를 분석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분석문은 시각적 요소 묘사 부분을 외연으로, 시각적 요소에 담긴 의미 분석 부분을 내포로 구분하여 시각 이미지의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어떠한 시각적 요소를 사용하였는지에 중점을 두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 초등 교사들 중 일부는 시각 이미지를 분석하는 것에 대한 의식이 부족하였다. 또 대부분의 예비 초등 교사들은 1차적으로 주목하게 되는 시각적 요소에만 집중하고 보다 간접적이고 은유적인 방식으로 의미를 전달하는 시각적 요소들의 활용은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영문 초록

The visual images that the moderns are confronted continually in daily life are different from diverse aspects of the visual images that were included in the existing art education field. When we accept visual images produced in modern society without question, we cannot avoid internalization of commercial intent, prejudices and fixed ideas about culture, race, gender, etc in the visual images. In order to analyze and interpret of the visual images in modern society, a new approach is needed different from appreciating and criticizing artworks. Visual culture is included in art curriculum since 2007 Revision of National Art Education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rengthen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n elementary education by studying pre-service teachers’ visual literacy who will educat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nalyze and interpret visual images and search the way to improve pre-service teachers’ visual literacy. To achieve this research goal, I asked pre-service teachers to analyze and interpret a heroine’s character of a soap opera based on visual images. The collected data was separated into denotation and connotation: the part describing visual elements were categorized as denotation, the part interpreting the meaning contained in visual elements were categorized as connotation. Then, I focused on analyzing which visual elements were used to interpret visual images. I found some pre-service teachers did not analyze visual images rather that simply described visual images or wrote about a heroine’s character. And most pre-service teachers’ used only visual elements that convey meanings in a direct way and did not used visual elements that convey meanings in a metaphorical and subtle way.

목차

I. 서론
II. 외연과 내포 개념을 활용한 드라마 분석
III. 등장인물 분석을 통해 알아본 예비 초등교사들의 시각적 문해력
IV.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해경(Hai-Kyung Kim). (2014).드라마 분석을 통한 예비 초등 교사들의 시각적 문해력 향상 방안 연구. 문화예술교육연구, 9 (6), 98-112

MLA

김해경(Hai-Kyung Kim). "드라마 분석을 통한 예비 초등 교사들의 시각적 문해력 향상 방안 연구." 문화예술교육연구, 9.6(2014): 98-1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