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불안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 2001년부터 2018년을 중심으로

이용수 997

영문명
Research Trends of Social Anxiety in Korea : Focusing on from 2008 to 2017
발행기관
단국대학교 상담학연구소
저자명
이보연(Bo Yeon Yi)
간행물 정보
『상담교육연구』상담교육연구 제2권 제1호, 153~169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5.08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 사회불안에 관한 동향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KCI 등재지에 게재된 논문 57편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연구년도, 대상, 척도, 변인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1년까지 매년 1편에서 2편의 논문이 발표되었고, 2012년부터 2018년까지 5편부터 10편까지 많은 논문이 발표되어 이전 년도들에 비해 사회불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대상은 사회불안이 초기 청소년기부터 초기 성인기에 발생한다는 선행연구결과를 토대로 초등학생 5, 6학년에서 대학생까지 다양한 연령층이 연구대상으로 선정되었고, 대학생 연구대상이 35편으로 가장 많았다. 척도는 사회불안의 질적인 특성에 따른 상호작용불안과 수행불안에 대한 개별척도를 합하여 측정되는 경우가 많았고, 연령에 따라 사회불안의 조작적 정의에 따라 다양한 척도들이 사용되었다. 변인별 동향에서는 사회불안이 종속변인으로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었으며, 사회불안이 종속변인 경우 독립변인을 인지, 정서, 행동, 환경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s a trend study on social anxiety in South Korea from 2001 to 2018. Methods: Fifty-seven papers published in KCI were selected for final analysis and analyzed based on the research year, subject, scale, and variables. Results: By 2011, one to two papers were published every year, and five to ten were published from 2012 to 2018, confirming that studies on social anxiety have been active compared to previous years. Based on the previous study, social anxiety occurred from early adolescence to early adulthood, students from fifth and sixth graders to college student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study, with the highest number of students being studied by 35. Scales were often used in combination with each individual measure of interaction anxiety and performance anxiety according to the contextual nature of social anxiety, and with age various measures were used according to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social anxiety. In the trend by variables, social anxiety was studied most often as a dependent variable,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looked at as a cognition, emotion, behavior, temperament, and environment. Conclusions: Based on the above results, I would like to propos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studies on social anxiety.

목차

Ⅰ.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보연(Bo Yeon Yi). (2019).사회불안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 2001년부터 2018년을 중심으로. 상담교육연구, 2 (1), 153-169

MLA

이보연(Bo Yeon Yi). "사회불안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 2001년부터 2018년을 중심으로." 상담교육연구, 2.1(2019): 153-1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