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내러티브 분석을 통한 진로 전환기 직장인의 생애 설계 상담(life design counseling)의 적용 연구
이용수 2056
- 영문명
- A Study of the Application of Life Design Counseling Through a Narrative Analysis for Employees in Career Transitions
- 발행기관
- 한국인간발달학회
- 저자명
- 김신희(Kim Shin-Hee) 양은주(Yang Eun-Joo)
- 간행물 정보
- 『인간발달연구』제26권 제2호, 77~10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진로 전환에 놓인 성인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구성주의 진로 이론을 바탕으로 한 진로 상담을 실시하였다. 구성주의 진로 상담은 변화하는 21세기 직업환경에 진로 적응성을 키우기 위해 내러티브를 활용한 상담으로, Savicakas(2011)의 생애 설계 상담(life design counseling)이 대표적이다. 생애 설계 상담은 5개의 질문으로 구성된 ‘커리어 스토리 인터뷰’가 핵심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6명의 성인 근로자들이며 이들은 자발적으로 상담을 신청하였다. 상담은 총 2회기로 진행되었는데, 1회기에 커리어 스토리 인터뷰의 상담을 받았고 2회기에는 1회기 상담을 해석한 것을 바탕으로 인생초상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상담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참가자들은 내러티브 평가 도구인 미래 진로 자서전(FCA)을 상담 사전 사후에 작성하였다. 상담 결과, 여섯 명 중 한 명만이 아무런 변화를 보이지 않은 ‘정체’에 해당되었고, 나머지 다섯 명의 참여자는 일반적인 내용에서 구체적인 내용으로의 내러티브 변화를 보였다. 끝으로 진로 전환에 직면한 성인들을 대상으로 커리어 스토리 인터뷰를 사용한 새로운 진로상담에 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constructive career counseling to adults who find themselves in a career-transition period. The life design counseling of Savickas (2011) is utilized ‘Career Story Interviews(CSIs)’ consisting of five question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ix adult workers who voluntarily applied for counseling. The counseling was conducted in two sessions. During the first session, they received counseling based on career story interviews. During the second session, they reconstruct life portraits based on the first session counseling.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counseling, the participants wrote a future career autobiography (FCA), which is a type of narrative evaluation, before and after the CSIs. The study found that one of the six could be classified as in period of ‘stagnation’, while the remaining five showed narrative changes from general content to specific content. Finally, a new career counseling strategy using career story interviews(CSIs) for adults facing career transitions is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내러티브 분석을 통한 진로 전환기 직장인의 생애 설계 상담(life design counseling)의 적용 연구
- 부모-자녀 친밀·지지 관계, 교사의 정서적 지지가 아동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아동의 정서조절 매개효과 검증
-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남녀 청소년의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 아동기 반추에 대한 탐색: 부부갈등, 양육방식, 사회불안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어머니의 학업성취압력이 고등학생의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이중매개효과
- 대학생의 애착불안과 SNS 중독경향성: 정서조절곤란과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청소년기 사이버 괴롭힘 피해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유아교사의 잡 크래프팅이 일가치감과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부모화 돌봄 경험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지각된 불공정성과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빅데이터에 나타난 ‘관계중독’에 대한 사회적 인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내면아이치료 상담사들의 치유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상담사 자기치유와 내담자 치유와의 연결고리
- 상담자의 비대면 화상상담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D 대학원 상담센터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