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각장애인의 활동적 여가로서 매트 필라테스 운동, 운동 중단 및 운동 재실시가 기초체력 및 신체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43

영문명
Effects of Mat Pilates Exercise, Stop Exercise and Re-exercise on Basic Physical Fitness and Body Image as Active Leisure Activity for the Blind
발행기관
한국여가문화학회
저자명
이선주(Lee Seonju) 황선환(Hwang Sunhwan)
간행물 정보
『여가학연구』제17권 제2호, 21~3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5.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운동 중단과 운동 재 실시가 시각장애인의 체력과 신체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 대상은 1급 시각장애인 8명이며, 구성하였고, 매트 필라테스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8주간 운동, 8주간 운동 중단 후, 8주간 운동 재 실시를 하였으며, 8주간의 운동기간과 8주간의 운동 재 실시 기간에 주 2회, 회당 약 90분간 매트 필라테스 운동을 실시하였다. 체력과 신체이미지는 사전 8주간, 운동 후, 8주간 운동 중단 후 그리고 8주간 운동 재실시 후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8주간 운동 후 체력과 신체이미지는 모두 증가하였고, 특히 근지구력과 유연성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8주간 운동 중지 후 체력과 신체이미지는 모두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운동 초기 보다 체력, 신체이미지 모두 증가 하였다. 셋째, 8주간 운동 재실시 후 체력과 신체이미지는 모두 증가하였고, 신체이미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8주간 운동 재 실시는 8주간 운동 전보다 체력, 신체이미지가 모두 증가 하였으며, 특히 근지구력, 유연성, 신체이미지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 운동 중단은 체력 및 신체이미지에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지만 규칙적인 운동 후 적절한 휴식시간 다음 운동 재 실시는 긍정적인 생리적·심리적 변화를 유도할 수 있었다. 시각장애인이 혼자서도 할 수 있는 신체활동 및 운동 프로그램의 마련은 규칙적인 운동을 지속하게 할 수 있으며, 환경적 제약으로 인한 운동 중단을 최소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interruption of exercise and the re-examination of exercise on the physical strength and body image of the blind. The study consisted of eight first-class blind people and participated in the Matt Pilates exercise program. Eight weeks of exercise, eight weeks of suspension, eight weeks of exercise, and eight weeks of exercise, two times a week, and about 90 minutes per session, respectively. Physical strength and body image were measured in the same way after 8 weeks of exercise, after 8 weeks of suspension of exercise, and after 8 weeks of exercise re-exercis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both physical strength and body image increased after 8 weeks of exercise,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endurance and flexibility. Second, both physical strength and body image decreased after 8 weeks of rest,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and both physical and physical image increased compared to the early stages of exercise. Third, after 8 weeks of exercise, both physical strength and body image increased, and significant differences emerged in body image. Fourth, exercise re-execution for eight weeks has all increased strength and body image than exercise for eight weeks, especially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and body image. Stops of exercise have negative consequences for physical and physical images, but after regular exercise, a proper rest time after regular exercise suggests that exercise re-run can induce positiv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changes, and the preparation of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programs that can be done by the blind alone can cause regular exercise to continue and minimize the interruption of exercise due to environmental constrai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선주(Lee Seonju),황선환(Hwang Sunhwan). (2019).시각장애인의 활동적 여가로서 매트 필라테스 운동, 운동 중단 및 운동 재실시가 기초체력 및 신체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여가학연구, 17 (2), 21-37

MLA

이선주(Lee Seonju),황선환(Hwang Sunhwan). "시각장애인의 활동적 여가로서 매트 필라테스 운동, 운동 중단 및 운동 재실시가 기초체력 및 신체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여가학연구, 17.2(2019): 21-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