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 수준에 따른 직무 중요도 분석

이용수 41

영문명
An analysi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their job importance according to their levels of teaching efficacy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저자명
김지영(Kim Ji-Young) 김나림(Kim Na-Rim)
간행물 정보
『한국유아교육연구』제21권 제1호, 139~154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4.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 수준에 따라 교사 직무 중요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G광역시의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17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교수효능감과 직무 중요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Cronbach s α, 평균과 표준편차,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 수준은 ‘보통’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는 교사가 수행하는 대부분의 직무에 대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특히, 유아교사의 직무 중에서 ‘유아 보호’, ‘교수-학습 실제’, ‘교수-학습 계획’, ‘교수-학습 평가’, ‘학부모와의 협력 및 연계’의 직무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높았고, 상대적으로 ‘유치원 행사’와 ‘유치원 사무’ 직무에 대해서는 중요성의 인식이 낮았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의 수준에 따라 교사 직무 중요도 인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교사교육기관에서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 수준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유아교사로서 수행하게 되는 직무 영역에 대한 올바른 이해 및 교육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job importance according to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levels of the teaching efficacy. Participants were 173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G city. The survey data about teaching efficacy and job importance were collected. The data were analyzed conducting cronbach’s α, mean, sd, and independent t-test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eaching efficacy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average. Seco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that most of the duties performed as ‘important’. In particular, the importacne of duties with regard to ‘child protection’, ‘the virtuality of teaching-learning’, ‘the teaching-learning plan’, ‘the teaching-learning evaluation’, and ‘the cooperation and connection with parents’ are perceived highly. In contrast, the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job related the events in kindergarten’ and ‘ the office job in kindergarten’ were relatively low. Third, there were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degrees of the importance of duties recognized by pre-service teachers according to the levels of teaching efficacy. Therefore,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need to seek ways to improv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levels of their teaching efficacy and their understanding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uties and job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및 해석
IV.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영(Kim Ji-Young),김나림(Kim Na-Rim). (2019).예비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 수준에 따른 직무 중요도 분석. 한국유아교육연구, 21 (1), 139-154

MLA

김지영(Kim Ji-Young),김나림(Kim Na-Rim). "예비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 수준에 따른 직무 중요도 분석." 한국유아교육연구, 21.1(2019): 139-1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