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신과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한 노래 만들기에서 도출된 노래가사 분석

이용수 487

영문명
Lyrics Analysis of Songs Written by Psychiatric Inpatients
발행기관
한국음악치료학회
저자명
오선화(Oh Sun Hwa) 문지영(Moon Ji Young)
간행물 정보
『한국음악치료학회지』제21권 제1호, 71~9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4.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E병원에 입원한 정신과 환자들이 만든 노래 70곡의 가사 분석을 통해 그들의 필요를 파악하고, 임상 현장에서 노래 만들기의 효과적 적용을 위한 아이디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가사분석은 Roberts와 McFerran(2013)이 제시한 혼합된 내용 분석방법(mixed methods content)으로 귀납적 방법과 연역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귀납적 분석 방법에 따라 도출된 총 30개의 코드(codes)는 공통된 의미를 가지고 있는 ‘감정’, ‘북돋아줌’, ‘감각’, ‘바램’, ‘변화’, ‘삶의 태도’, ‘여행’, ‘인식’, ‘병식’, ‘관계’, ‘기억’, ‘장소’, ‘사람’, ‘음악’, ‘음식/약물/알코올’, ‘자연’, ‘지지적 환경을 제공하는 것’의 17개 코드(labelled codes)로 요약되었다. 요약된 17개의 코드는 이후 ‘감정/느낌’, ‘삶’, ‘인식’, ‘관계’, ‘기억’, ‘장소’, ‘사람’, ‘사건/사물(thing)’의 8개 카테고리(category)로 범주화되었으며, 최종적으로 ‘내적 자원’, ‘외적 자원’이라는 2개의 주제(theme)로 분류되었다. 8개 각각의 카테고리(category)에 해당되는 내용의 가사를 연역적 방법에 따라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같다. 가사의 내용에서 가장 많이 다루고 있는 내용은 ‘감정/느낌’, ‘삶’, ‘인식’, ‘사건/사물’, ‘사람’, ‘장소’, ‘관계’, ‘기억’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정신과 환자들은 노래 만들기에서 가사 만들기 방법을 통해 ‘자원화(resourcing)’라는 심리, 정서적 지원과 관련된 치료적 경험을 하고 있다는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research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ong-focused music therapy program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on subjective well-being and optimism of migrant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subject under the research was 58 participants in the ‘J’ and ‘I’ areas. It was made up of 28 experimental and 30 control group. The musical intervention period consisted of a total of 12 sessions, twice a week from August 6th to September 17th 2018. Intervention had been conduc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only. To pro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the scores of ‘subjective well-being’ and ‘optimism’ were measur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then analysed by SPSS for Windows 23. To measure the effects, PANAS, SWLS and LOT-R were used. Homogeneity between two groups is verified through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subjective well-being score consist of 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and satisfaction with life. Second,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ex ante and ex post subjective well-being scor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positive affect and the satisfaction with life were improved, the negative affect diminished.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optimism level. Finally,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ex ante and ex post optimism level in the experimental group. Thus, it confirmed the positive effects of song-focused music therapy program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on subjective well-being and optimism of migrant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it propose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usic therapy program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목차

방법
결과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선화(Oh Sun Hwa),문지영(Moon Ji Young). (2019).정신과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한 노래 만들기에서 도출된 노래가사 분석. 한국음악치료학회지, 21 (1), 71-93

MLA

오선화(Oh Sun Hwa),문지영(Moon Ji Young). "정신과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한 노래 만들기에서 도출된 노래가사 분석." 한국음악치료학회지, 21.1(2019): 71-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