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주방언 문두 담화표지어 “양”과 “기”의 담화 기능과 운율적 특성

이용수 10

영문명
The Discourse Functions and their Prosodic Features of Sentence-initial Discourse Markers “Yang” and “Ki” in the Jeju Dialect
발행기관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저자명
김원보(Kim Wonbo)
간행물 정보
『교육과학연구』제19권 제2호, 1~1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1.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제주방언 문두 담화표지어 “양”과 “기”의 담화 기능과 그에 따른 운율적 특성을 논의 하였다. 여기서는 남녀 피험자 각 3명씩 “양”과 “기”의 담화적 기능에 따른 운율적 특성의 평균 값을 제시한 후 음길이와 음높이 등을 논의하고 시사점을 살펴봤다. 첫째, 음의 길이 측면에서는 “양”과 “기” 모두에서 남녀에 관계없이 일관성 있게 나타났다. 이런 사실은 “양”과 “기” 각각의 담화적 기능에서 음의 길이가 결정적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두 번째로 “양”과 “기”의 음높이 최고지점의 측면에서는 남녀사이에 차이가 있어서 남자는 확연히 구별되어 변별적이지만, 여자의 경우 최고음 높이는 거의 비슷하여 담화적 기능에 따른 최고 음 높이 비교는 변별적이지 못했다. 이런 사실은 남자의 경우 여자보다도 주파수가 낮아 음 높이와 음 길이 둘 다를 활용하여 담화적 기능에 활용하는 반면, 여자의 경우 음높이보다는 음의 길이를 상이한 담화적 기능을 표현하기 위해 적극 활용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세 번째로 남자와 여자의 “양”과 “기”의 운율곡선을 비교해보면 여자의 경우 운율곡선이 훨씬 역동적이 확연히 구분되고 있다. 이런 사실은 여자의 경우 음 높이보다는 음의 길이와 유연한 운율곡선을 활용한 다양한 의미의 담화적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deals with the discourse functions and their prosodic features of sentence-initial discourse markers “yang” and “ki” in the Jeju dialect. We presented the average values of three male and three female subjects’ prosodic features in accordance with the discourse functions of “yang” and “ki”, discussed their sound length and pitch, and examined their implications. First, in terms of the length of the sound, both “yang” and “ki” showed consistency in accordance with the discourse functions regardless of sex. This suggests that the sound length plays a distinctive role in classifying the different discourse functions of each of “yang” and “ki”. Second, in terms of the highest pitch of each of “yang” and “ki”,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the highest pitches are distinctive for men since they are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the discourse functions of each of “yang” and “ki”, but not in the case of women because they are almost similar in most of the discourse functions. This fact shows that men whose sound frequency is lower than that of a woman utilize both the sound height and length to differentiate a variety of discourse functions of each of “yang” and “ki”, whereas women use the sound length rather than the highest pitch to actively express the different discourse functions. Third, when comparing the prosodic curves of each of men’s and women’s “yang” and “ki” the prosodic curves of the latter are clearly more dynamic. This fact indicates that women perform a variety of discourse functions using the sound length and the changing prosodic curves rather than the pitch height.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실험자료 및 방법
Ⅳ. 분석방법 및 결과논의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원보(Kim Wonbo). (2017).제주방언 문두 담화표지어 “양”과 “기”의 담화 기능과 운율적 특성. 교육과학연구, 19 (2), 1-16

MLA

김원보(Kim Wonbo). "제주방언 문두 담화표지어 “양”과 “기”의 담화 기능과 운율적 특성." 교육과학연구, 19.2(2017): 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