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연극적 몸의 자기인식 기여에 관한 고찰

이용수 234

영문명
A Study on the Dramatic Body for Self-Awareness
발행기관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저자명
박미리(Park Mi Ri)
간행물 정보
『연극예술치료연구』제9호, 5~3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연극치료에서 몸 중심 접근법에 대해 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수 제닝스의 체현(embodiment)과 데이비드 리드 존슨의 발달변형(Developmental Transformation)개념을 통해 몸이 어떻게 연극치료 작업에서 자기인식(self-awareness)에 기여하는지 간략하게 살펴본 다음, 필 존스가 말하는 ‘연극적 몸’의 개념을 바탕으로 그것이 수행하는 기능적 측면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극적 몸’은 연극치료 작업에서 다음과 같은 세가지 기능-감각느낌과 알아차림, 역할입기와 상상, 자기초월과 변형-을 수행함을 알 수 있었다. 첫 번째 ‘감각하는 몸’은 메를로-퐁티가 말한 현상학적인 몸 즉, 고유한 몸 개념과 일치하며, 현전적 미적 경험에 해당된다는것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 ‘상상하는 몸’은 지각을 불러일으키고, 지각은 변형을 이끌어내어 내가 아닌 다른 존재로 변신하도록 할 수 있었다. 이는 역할입기에 해당하는 작업이므로, 세 가지 몸 중 가장 ‘연극적인 몸’이라고 할 수 있다. 세 번째 ‘변화하는 몸’은 일상을 넘어선 초월적 현상과도 같아서 가장 근원적인 실체와의 만남이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illustrate the body-centred approaches in dramatherapy. First of all, the study will briefly discuss how the body can contribute to self-awareness in dramatherapy process, based on the concepts of ‘embodiment’ by Sue Jennings and ‘Developmental Tranformation’ by David Read Johnson. Then, the study will further elaborate on functional aspect of the body by using the notion of ‘the dramatic body’ by Phil Jones. During the dramatherapy process, the dramatic body functioned as following roles: feeling senses and awareness; role playing and imagination; and self-transcendence and transformation. First, the ‘sensing body’ corresponded to the concept of ‘phenomenological body’- the original definition of the body- by Merleau-Ponty and could be understood as presentative aesthetical experiences. Second, the ‘imagining body’ brought about awareness and this enabled transforming the persona into the other one. Among three different bodies, this would be the most ‘dramatic body’ as this can be viewed as role playing. Lastly, the ‘transforming body’ would be referred to as meeting the most fundamental substance as it is similar to transcendental phenomenon beyond the reality.

목차

I. 서론
II. 자기인식과 몸
III. 연극적 몸의 수행 기능
I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미리(Park Mi Ri). (2018).연극적 몸의 자기인식 기여에 관한 고찰. 연극예술치료연구, (9), 5-31

MLA

박미리(Park Mi Ri). "연극적 몸의 자기인식 기여에 관한 고찰." 연극예술치료연구, .9(2018): 5-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