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탈북청소년 교육정책에 대한 고찰: 토대역량 접근법을 중심으로

이용수 300

영문명
A Study on Educational Policies for North Korean Defector Youth in South Korea
발행기관
한국교육사회학회
저자명
김지수(Jisoo Kim) 김선(Sun Kim) 김희정(Heuijeong Kim)
간행물 정보
『교육사회학연구』제28권 제4호, 31~5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토대역량 접근법을 활용하여 탈북 청소년들이 급속하게 증가한 2000년대 초반부터 2009년, 2012년의 변화를 포함하여 최근까지의 탈북 청소년 교육 프로그램 및 정책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한국정부의 탈북청소년 교육지원 정책의 전개과정을 살펴보면, 2000년대 초반에는 탈북학생들의 기본적인 학습권 보장을 위한 정책이 주로 실시되었고, 2009년 이후에는 그들의 학습권 보장 정책들이 체계화 되면서 확대되었다. 2012년 이후에는 탈북청소년 개인의 필요에 초점을 맞춘 지원이 전개되었는데, 교사-탈북학생 멘토링 사업, 진로 개발 지원 사업, 심리상담 지원 등의 사업들이 다각적으로 추진되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탈북학생 지원정책은 한국 사회와 학교에 적응하는데 필요한 지원 수준이고, 탈북청소년들이 한국사회의 일원으로서 주체적인 민주 시민으로 성장하는 데까지 지원하겠다는 것은 목표로만 제시될 뿐 구체적인 실행은 체계적이지 못하다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에 탈북청소년이 민주 시민으로 성장하기 위한 토대역량을 강화시키는 교육 정책적 과제들을 살펴보았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and evaluate the educational programmes and policies by South Korean government for North Korean defector youth from 2000 to the present, by applying Amartya Sen’s capability approach for the evaluation. The policies for North Korean defector youth in South Korea were initially made in the 2000s to protect the North Korean youth’s right to education, one of the essential elements for human rights, and later developed to strengthen capabilities of each North Korean youth. For example, from early 2000s to 2008, for the protection of rights to education, educational infrastructure, such as governmental and non-governmental educational facilities, were provided. In September 2009, Center for North Korean Youth was established in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with which various programmes and policies, such as supplementary textbooks, alternative all-day after-school educational facilities, group homes, coordinators for North Korean youth, pre-college programmes, were made and developed. From 2012 onwards, policies geared to develop capabilities of each North Korean youth were developed, includ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North Korean youth who were born in third countries such as China, and career development and counseling programmes. More systematic educational provisions that center around the intrinsic values of education need to be made in order for the youth to realize themselves as free agents who could make value choices to design and manage their own lives, and, ultimately grow into citizens of a democratic society of Korea.

목차

Ⅰ. 서론
Ⅱ. 토대역량 접근법
Ⅲ. 탈북청소년 교육지원 정책의 전개
Ⅳ. 토대역량관점으로 분석한 탈북 청소년 교육정책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수(Jisoo Kim),김선(Sun Kim),김희정(Heuijeong Kim). (2018).탈북청소년 교육정책에 대한 고찰: 토대역량 접근법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28 (4), 31-55

MLA

김지수(Jisoo Kim),김선(Sun Kim),김희정(Heuijeong Kim). "탈북청소년 교육정책에 대한 고찰: 토대역량 접근법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28.4(2018): 31-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