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낙인에 대한 출소자의 인식이 대인관계에서 신뢰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41

영문명
The Effect of Ex-prisoner s Perception of Stigma on Trus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발행기관
한국보안관리학회(구:한국경호경비학회)
저자명
공정식(Gong Jung Sik)
간행물 정보
『시큐리티연구』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57호, 57~8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낙인에 대한 출소자의 인식이 대인관계에서 신뢰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선행연구들은 일반인들이 출소자를 기피하고 차별하는 의식들의 근저에는 낙인이 있다고 하였다. 이는 결국 출소자들의 재범에도 영향을 준다고 하였으나, 낙인에 대한 출소자 스스로의 인식에 관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거의 없는 편이다. 낙인은 다양하게 설명될 수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낙인의 하위척도를 대중낙인, 개인낙인, 그리고 자기낙인으로 구분한 Phillips(2016)의 견해에 기초하였다. 그는 출소자들이 자기낙인보다는 대중낙인을 더 크게 인식한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와도 일치한다. 그런데 출소자들이 자기낙인보다 대중낙인을 더 크게 인식하면서도, 대인관계에서 상대에 대한 신뢰에 있어서는 대중낙인보다 자기낙인의 영향을 더 받는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출소자들이 외면적인 사회적 인식보다는 내면적인 심리적 인식에 더 민감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출소자의 내면적 자기낙인을 극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개입이 요구된다. 본 연구결과, 첫째 낙인은 대인관계에서 신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자기낙인이 대부분의 대인관계에서 신뢰에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자기낙인이 심할수록 대부분의 대인관계에서 신뢰가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구체적으로 가족관계 중에서는 자녀, 사회관계 중에서는 직장동료, 그리고 일반관계 중에서는 자신과의 신뢰에 낙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낙인이 출소자들의 삶에 있어서 중요한 타자들과의 관계에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라는 점을 확인해준다. 셋째 출소자들은 자기낙인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이 필요한데, 자기낙인은 자아정체성을 부정적으로 재정립하여 스스로를 일탈자로 인식하고 불량한 생활양식을 보이며, 경력범죄자로 발전해가는 것을 의미하는 바, 자아정체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개입이 요청된다. 넷째 본 연구는 남성범죄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나, 성별에 따라 낙인을 인식하는 것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이고, 또한 낙인은 대인관계 뿐만 아니라 결국 사회 내 재통합과 재범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이는 바, 이를 추후 연구과제로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ssumes that the perception of the ex-prisoner s against stigma will affect trus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ior studies have suggested that there is a stigma at the base of the awareness where people avoid and discriminate against ex-prisoner s. This in turn affects ex-prisoner s recividicism, but there is no study about ex-prisoner s perception of stigma in Korea. Although stigma can be explained in numerous ways, this study is based on the opinion of Phillips(2016), which divides the subscale of stigma as perceived public stigma, perceived personnel stigma, and self stigma. He insisted that ex-prisoner s believe perceived public stigma higher than self-stigma.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is study.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although ex-prisoner s are more aware of public stigma than self-stigma, they are actually more influenced by self stigma in pereonal relationships. This means that ex-prisoner s are more susceptible to internal psychological awareness than external social recognition. Therefore, the development and intervention of the program to overcome the internal self-stigma of the released prisoner is required. In this study, first, stigma, especially self-stigma turned out to have influence on the interpersonal trust. Therefore, as self-stigma level increased, the interpersonal trust decreased in most cases. Second, it was shown that stigma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children out of family members, co-workers out of social relationship, self trust out of general relationship in. This confirms that stigma is a factor that greatly influences relationship between important people for ex-prisoner s. Third, since self-sigma negatively reestablish self-identity, make individuals recognize themselves as deviators and show bad lifestyle, which lead them to become habitual offender, ex-prisoner s need to make efforts to overcome self-stigma, and development and intervention of program that can make ex-prisoner s have positive self identity is requested. Fourth, although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only male, it seems that there is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stigma by gender, and influence of stigma not only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ut also on social reintegration and recidivism imply that these might be good future research topic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공정식(Gong Jung Sik). (2018).낙인에 대한 출소자의 인식이 대인관계에서 신뢰에 미치는 영향. 시큐리티연구, (57), 57-84

MLA

공정식(Gong Jung Sik). "낙인에 대한 출소자의 인식이 대인관계에서 신뢰에 미치는 영향." 시큐리티연구, .57(2018): 57-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