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00-668CE에서 한국의 수입품 카넬리안구슬의 상습
이용수 102
- 영문명
- The Rise of Imported Carnelian Beads in Korea from 100 CE – 668 CE
- 발행기관
- 한국고고학회
- 저자명
- Lauren Glover J. M. Kenoyer
- 간행물 정보
-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문』제42회, 359~368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1.03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붉은 오렌지 빛깔을 가진 칼시도니 광석, 카넬리안(마노)으로 만들어진 돌구슬이 기원후 100-668년 사이에 한국에서 크게 유행하였다. 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한국의 고대 국가 백제, 가야, 신라에서 사용된 카넬리안 구슬의 제조 기술과 사용흔, 전반적인 형태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전체적인 분포 패턴은 지역에서 제작된 돌 구슬과 모양에서 이국적 물질들로 제작된 수입 구슬로의 전환을 보여 준다. 삼국시대 엘리트들이 그들의 부와 사회적 지위, 이념적 신념을 표현하기 위해 이러한 변화를 가져왔을 것이다. 남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와의 장거리 교환은 구슬의 모양 및 제조 기술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많은 카넬리안 구슬들은 남아시아에서 유래된 다이아몬드 드릴링(천공) 기술로 제작되었다. 구슬 크기 및 모양, 천공 크기에 대한 정량적 분석은 하나 이상의 공방에서 이 구슬들이 제작되었음을 보여 준다. 다른 정치체들(즉 백제, 가야, 신라) 간 구슬 분포 패턴은 특정 그룹들이나 개인들을 구별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 구슬모양의 스타일 선택뿐만 아니라 시간 경과에 따른 교역 네트워크의 변화를 반영할 수 있다.
영문 초록
Carnelian is a red-orange form of the stone chalcedony which became prominent from 100 CE - 668 CE. These beads were analyzed by documenting overall morphology, along with details of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use wear.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alysis of silicone impressions of drill holes helped to determine specific aspects of drilling and signs of use wear. Overall patterns of distribution include a shift from locally made stone beads and shapes to imported beads of exotic materials. Three Kingdoms Period elites may have made this shift in order to express their wealth, social status and ideological beliefs. Long distance exchange with South Asia and possibly Southeast Asia is indicated via examination of bead shapes and manufacturing technology. Many of the carnelian beads appear to have been drilled using diamond drilling technology that has its’ origins in South Asia. Quantitative analysis of drill-hole size and overall size and shape of the beads indicates that multiple, international workshops were supplying the imported beads to various polities.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beads in different polities may reflect changes in trade networks over time as well as stylistic choices of bead shapes used as a means of differentiating specific groups or individuals.
목차
Introduction
Background and Methodology
Stone Beads in Korea
Summary and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8년의 전곡리안으로 살아가기
- 유적 축제에서의 활 체험 연구
- 분묘 자료를 통해 본 청동기시대 취락 경관의 구축
- 100-668CE에서 한국의 수입품 카넬리안구슬의 상습
- 한반도 신석기시대 생계 체계의 변동과 취락 경관의 변화
- 영산강유역 고대사회의 토지개발 유형과 동인
- 原三國時代 葬禮儀式 變異-慶州地域 細長方形 木槨墓를 통해서
- 한반도의 로만글라스: 무엇을, 언제, 어디서, 왜? 서기
- 즐문토기시대와 조몬시대 매장 맥락에서 본 신석기시대 수렵채집사회의 장식 관행
- 수렵채집민의 광역교류네트워크와 후기 구석기시대 인구변동
- 동아시아적 관점에서 본 한국의 최초 토기
- 비파형동검 등장 이전 청동기 문화의 변동
- 동북아시아의 옥 원석: 동정, 분포 그리고 획득의 문제
- 발해 요새화 주거지 연구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
- 축제와 체험을 통한 유적의 가치의 전달
- 석장리 구석기 축제 구석기 콘텐츠 개발의 현황과 과제
- 신석기시대 주거지 내 공간구성의 변화와 의미
- 2018 연천 구석기축제의 기획과 운영
- 청동기시대 주거지 내 공간 구성의 변화와 의미
- 송국리형문화 단계의 취락사회와 취락구성
- 사비도성의 개발 계획과 활용
- 고김해만 일대 금관가야의 도시 경관
- 매장문화재와 유존지역의 법적 定義에 대한 고찰
- 고구려유적을 활용한 대중고고학적 접근
- 삼국시대 유적을 활용한 대중고고학적 접근
- 화전민 농업: 민족지고고학적 접근의 기회
- 삼국시대 기장지역의 토지 활용과 경관
- 초기 신라 왕실 계보
- 석장리 구석기축제에서 실험고고학 자료를 활용한 프로그램의 운영
- 경주분지의 토지 활용과 신라왕경
- 요서 출토 상말주초 족씨 명문에 대한 초보적 연구
- 비파형동검의 등장과 그 배경
- 호서지역 원삼국-삼국시대의 토지개발과 활용
- 비파형동검문화 성립 이후 요서지역의 토기문화
- 고구려 國內城期의 都城景觀과 토지이용
- 일본 고훈시대의 토지개발 전략과 활용
- 매장문화재 유존지역 사례 검토
- 청동기시대의 토지활용과 농경시스템
- 매장문화재 유존지역 분류체계 기준 개선안
- 구석기시대 유적의 기능과 성격 이해를 위한 정량적 연구방법 시론
- 日本 古墳時代の土地開発戦略と活用
- 백제 한성기 도성지역 경관의 변화
- 점토대토기문화 유입에 의한 취락과 생업구조의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