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북아시아의 옥 원석: 동정, 분포 그리고 획득의 문제
이용수 166
- 영문명
- Northeast Asian Beadstones: Problems of Identifications, Distributions, and Sourcing
- 발행기관
- 한국고고학회
- 저자명
- Gina L. Barnes Sarah M. Nelson
- 간행물 정보
-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문』제42회, 345~351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1.03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Part 1: 동북아시아의 두 가지 중요한 옥 원석은 연옥과 천하석이다. 연옥은 중국 본토에서 경옥(투각섬석-양기석)의 주요한 재료이지만, 한국의 연옥은 중국에서 가장 가까운 지역인 요동의 원석과는 상당히 다르다. 한국 선사시대에 천하석은 중국과 달리, 구슬 제작용 석재로 연옥보다 선호되었다. 두 석재의 암석성인론은 한반도의 화강암 관입과 관련 있다. 원재료의 획득의 관점에서 연옥과 천하석이 갖고 있는 판 지질구조의 특징을 논의하고자 한다.
Part 2: 옥 원석은 대부분 청동기시대 유적에서 발견되는데, 옥 원석의 분포와 그것들에 부수되는 특성을 살펴보는 것은 이러한 색깔이 있는 돌들을 획득하는 것이 왜 중요한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영문 초록
Part 1: The two important beadstones of Northeast Asia are nephrite and amazonite. Nephrite is the primary material of true jades (tremolite-actinolite) on the China Mainland, but Korean nephrite is quite different from the nearest Chinese sources in Liaodong. Unlike in China, amazonite is the beadstone of choice in Korean prehistory rather than nephrite. The petrogenesis of both stones relates to granite intrusions into the Korean Peninsula. The plate tectonic setting of nephrite and amazonite are discussed in terms of artefact sourcing.
Part 2: Bead stones are mostly found in Bronze Age sites, and their distribution as well as their accompanying characteristics help to understand why the acquisition of these colored stones was important.
목차
Part 1: THE GEOLOGY OF NEPHRITE & AMAZONITE ON THE KOREAN PENINSULA
Part 2: STONE BEADS IN MANCHURIA AND THE KOREAN PENINSULA — Sarah Nels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8년의 전곡리안으로 살아가기
- 유적 축제에서의 활 체험 연구
- 분묘 자료를 통해 본 청동기시대 취락 경관의 구축
- 100-668CE에서 한국의 수입품 카넬리안구슬의 상습
- 한반도 신석기시대 생계 체계의 변동과 취락 경관의 변화
- 영산강유역 고대사회의 토지개발 유형과 동인
- 原三國時代 葬禮儀式 變異-慶州地域 細長方形 木槨墓를 통해서
- 한반도의 로만글라스: 무엇을, 언제, 어디서, 왜? 서기
- 즐문토기시대와 조몬시대 매장 맥락에서 본 신석기시대 수렵채집사회의 장식 관행
- 수렵채집민의 광역교류네트워크와 후기 구석기시대 인구변동
- 동아시아적 관점에서 본 한국의 최초 토기
- 비파형동검 등장 이전 청동기 문화의 변동
- 동북아시아의 옥 원석: 동정, 분포 그리고 획득의 문제
- 발해 요새화 주거지 연구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
- 축제와 체험을 통한 유적의 가치의 전달
- 석장리 구석기 축제 구석기 콘텐츠 개발의 현황과 과제
- 신석기시대 주거지 내 공간구성의 변화와 의미
- 2018 연천 구석기축제의 기획과 운영
- 청동기시대 주거지 내 공간 구성의 변화와 의미
- 송국리형문화 단계의 취락사회와 취락구성
- 사비도성의 개발 계획과 활용
- 고김해만 일대 금관가야의 도시 경관
- 매장문화재와 유존지역의 법적 定義에 대한 고찰
- 고구려유적을 활용한 대중고고학적 접근
- 삼국시대 유적을 활용한 대중고고학적 접근
- 화전민 농업: 민족지고고학적 접근의 기회
- 삼국시대 기장지역의 토지 활용과 경관
- 초기 신라 왕실 계보
- 석장리 구석기축제에서 실험고고학 자료를 활용한 프로그램의 운영
- 경주분지의 토지 활용과 신라왕경
- 요서 출토 상말주초 족씨 명문에 대한 초보적 연구
- 비파형동검의 등장과 그 배경
- 호서지역 원삼국-삼국시대의 토지개발과 활용
- 비파형동검문화 성립 이후 요서지역의 토기문화
- 고구려 國內城期의 都城景觀과 토지이용
- 일본 고훈시대의 토지개발 전략과 활용
- 매장문화재 유존지역 사례 검토
- 청동기시대의 토지활용과 농경시스템
- 매장문화재 유존지역 분류체계 기준 개선안
- 구석기시대 유적의 기능과 성격 이해를 위한 정량적 연구방법 시론
- 日本 古墳時代の土地開発戦略と活用
- 백제 한성기 도성지역 경관의 변화
- 점토대토기문화 유입에 의한 취락과 생업구조의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