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율장학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도 분석 연구

이용수 58

영문명
A Study on Recognition of School Self-supervision operation of Secondary Teacher
발행기관
교육종합연구원
저자명
유평수(Yu Pyeong-su) 최은이(Choi En-hee)
간행물 정보
『교육종합연구』제3권 제2호, 47~80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12.3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내 자율장학의 전반적인 사항, 운영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활성화 방안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이 변인별(성별, 규모별, 지역별, 직위별, 그리고 학교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교내 자율장학의 활성화 방안의 자료를 제시하는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의 교사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그 중 373명에 대해 자료분석을 하였다. 자료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내 자율장학에 대해 그 개념을 교사들이 전반적으로 잘 이해하고 있고, 그 중점적 기능은 교수․학습의 개선으로 주체는 교사이다. 둘째, 장학 담당자들은 교내 자율장학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보이지만, 자율장학에 임하는 교사의 자세는 다소 소극적이다. 교내 자율장학의 주된 저해요인은 과중한 업무 부담으로 인한 연구 시간 부족, 그리고 장학에 대한 부정적 의식이다. 셋째, 중등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재 연구시간은 평균 1일 1시간 정도이고, 1년 간 수업연구 횟수나 다른 교사의 수업을 참관하는 횟수는 년1-2회 정도이다. 넷째, 장학 담당자는 교과에 대한 전문지식과 수업 지도 능력을 갖춰야 하며, 원만한 인간관계를 바탕으로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 또한 교내 자율장학 개선을 위해서는 자기 장학과 각종 연수를 강화하고, 교수․학습 여건 개선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수업의 질 개선을 위해 도움을 얻고 싶은 대상은 동 교과 또는 동 학년 동료 교사이다. 다섯째, 중등 교원에게 자기 성장의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교과 교육 연구 활동, 직무나 자격 연수 참여이고, 자율장학은 그에 비해 자기 성장 면에 효율적이지 못하다. 그리고 교내 자율장학의 유형 중 유익한 형태는 자기 장학과 동료장학이며, 장학 담당자가 실시하는 약식장학은 가장 유익하지 못한 형태이다. 여섯째, 교내 자율장학이 활성화를 위해 교내 자율장학의 담당자인 교장․교감은 건강한 학교 풍토 조성과 장학자로서의 전문성을 증대하고 각종 지원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영문 초록

A purpose of the study is showing the improvement of the point at issue, Which is being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about the recognition, the actual condition and the problem of self-supervision in secondary teacher.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its contents were set up as follow: First, analyzing the difference of teachers recognition and a backing key figure of self-supervision such as sex, scale, region, position, school. Second, analyzing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 of self-supervision in background characteristic. Third, showing the improvement plan of self-supervision. As practicing the questionnaire, this study put in operation, the subject of a questionnaire were 400 secondary teachers in the Cheollabuk-do. 373 of the Questionnaires were taken statistics. The questionnaire used this study was made out revising by asking advice of a tutor and finding items related it in the theory, a bibliography and a preceding study on the logical base. The substance of questionnaire was made three fields such as general recognition of self-supervision in school,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 the improvement plan. Statistics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 materials were compiled and analyzed with SPSS/PC+10.0 for the purpose of the objectives of the study. Then performed x2-test(chi-square) to find an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each group, with a significance lever of p<.05, p<.01, p<.001. The several significant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most if secondary teachers are found to recognize that self-supervision in the school is necessary and helpful for improving teaching skills. Secondly, although responsible teachers for learning promotion have much interest promotions of learning in the school, they participate in self-supervision with preparation in the negative. Key figures of hamper are shortage of study through too heavy work, negative recognition for learning promotion. Thirdly, studying time in average for professional extension is about an hour a day and the number of time that teachers have teaching research or visit a class is about once or twice an year. Fourthly, responsible teachers for learning promotion have to get a professional knowledge of a subject and guidance ability. It is considered good human relationships and leaderships. Self-supervision in the school need to be reformed toward the development of teachers teaching skills and methods and the improvement of teaching․learning settings. Also it need to enhance self-promotion and in-service training through visiting other classes. Teachers should try to teach with excellent teaching skills and read professional texts in order to improve quality of a class. Fifthly, research activities for subject, official and qualifying training is the best ways to secondary teacher. It is real that voluntary learning promotions focus on the improvement of teaching guidance, instruction-based and coworker-oriented learning promotions are mainly performed. Sixthly, The man in charge of self-supervision, principal and vice-schoolmaster must create for sound school natural features and augment the specificity. It needs the diffusion of diverse educational information and data related learning promotion in the education institution. It is considered good human relationships and leaderships to prepare the foundation of self-supervision. They also should prosecute their studies for years such as attending graduate school, reflecting on oneself about their own classes. Judging from the results above, Firstly, Study range needs to include a group such as principal, vice-schoolmaster related promotion of learning and professional school inspector and analyze the improvement plan of autonomous supervision having a through grasp of the problem of self-supervisi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평수(Yu Pyeong-su),최은이(Choi En-hee). (2005).자율장학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도 분석 연구. 교육종합연구, 3 (2), 47-80

MLA

유평수(Yu Pyeong-su),최은이(Choi En-hee). "자율장학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도 분석 연구." 교육종합연구, 3.2(2005): 47-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