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근대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이용수 38

영문명
A Study on the Educational Thoughts in Modern Korea
발행기관
교육종합연구원
저자명
서재복(Seo Jae-Bok)
간행물 정보
『교육종합연구』제1권 제1호, 35~46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3.12.31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 근대 초등교육사의 역사적 논의는 한국 근대 교육사상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인식될 수있다. 우리 교육에 있어서 역사적 오류는 대부분 교육적 사관의 부재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에서 변화는 내적인 의지와 외적인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전제하에서 한국 초등교육의 발전 방안을 위한 모색으로서 우리 사상사 속에 내재되어 있는 초등교육이념을 밝히고자 했다. 한국 근대 초등교육은 서구 교육이념과 우리 민족의 내적인 열망과 정부의 자주적인 의지를 바탕으로 근대적 초등교육으로 발전되었음을 알 수 있다. 초등교육에 대한 명확한 이념과 교육의 목적을 통해 국가 발전뿐만 아니라 지 덕 체를 갖춘 전인교육에 바탕을 두었기 때문이다. 오늘날 우리의 교육은 많은 문제점은 그릇된 교육적 신념에서 비롯되었다. 따라서 교육적 신념의 정립을 통해 새로운 교육입국의 기틀이 마련되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perspective of elementary education in modern Korea. This study to explain thoughts of elementary education on the basis of Sil-hak thoughts((實學思想), Dong-hak thoughts(東學思想), and Kae-hwa thoughts(開化思想). The result of this study follows; first, Practicalism is known to importance elementary education on the basis of education opportunity s equality, equalitarianism. Second, Dong-hak s humanism and equalitarianism was contain ideology of education on the basis of human respect and child respect. Third, Kae-hwa thought has ready systemic foundation of elementary education in Korea. The result of this study is known that elementary education of Korea companied with our thought. Therefore, the solution of elementary education s problem get achieved upright perspective of education and historical perspective of education s establishment.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합리적 인간양성
Ⅲ. 인본주의로서 초등교육
Ⅳ. 전인교육으로서 초등교육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재복(Seo Jae-Bok). (2003).한국 근대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교육종합연구, 1 (1), 35-46

MLA

서재복(Seo Jae-Bok). "한국 근대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교육종합연구, 1.1(2003): 35-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