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거지 발복(發福)설화>의 유형과 의미

이용수 76

영문명
A Study of the Type and Meaning of the
발행기관
한국구비문학회
저자명
임이랑(Im, Lee Lang)
간행물 정보
『구비문학연구』제50집, 219~262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거지’가 등장하는 구비설화가 ‘복(福)’과 깊게 연관되어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를 <거지 발복설화>라고 명명하고 그 유형적 의미를 궁구해본 것이다. 먼저 발복(發福)의 방향성을 두 가지로 전제하여 거지가 복을 받는 ‘수혜형’과 거지가 복을 주는 ‘시혜형’으로 유형 분류를 시도했다. 수혜형 거지들은 스스로 부귀를 얻고자 하는 목표지향성이 뚜렷하지 않음에도 주변 인물이나 상황에 의해 우연히 재물을 얻거나 신분 상승에 이르는데, 따라서 이들 거지의 횡재는 귀인(貴人)과의 만남이 중요한 계기가 된다. 즉, 수혜형 <거지 발복설화>는 거지에게 부여된 운명과 사건전개의 우연 성에 방점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시혜형 거지들은 보통 사람들에게 귀감이 될 만한 인격을 갖추었거나, 초월적 존재와 소통하는 등 비범한 이인(異人)의 형상으로 그려지면서, 때때로 거지가 타인에게 복을 선사하는 구원자에 가까운 존재로까지 보이도록 한다. 이것은 부귀와 빈천의 우열관계를 해체시킴으로써 거지가 복과 유리된 존재라는 기존의 인식을 전면 뒤집는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이를 종합하면, 수혜형 <거지 발복설화>는 당대 민중들이 보편적 빈민으로서의 자신을 거지와 동일시한 결과로 우연한 횡재 혹은 잠재된 운명에 대한 기대심리를 거지에게 투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시혜형 <거지 발복설화>는 거지를 타자화한 민중들이 그동안 빈천한 거지를 멸시하고 배척해왔던 사회적 통념에 대해 스스로 반성적 성찰을 할 수 있다는 자정(自淨)력을 방증한다. 따라서 <거지 발복설화>에 대한 이상의 논의를 통해 거지로 표상된 사회적 약자에 대한 우리의 시선을 반추해 보고, 각종 소외문제로 분열하는 현대사회에 <거지 발복설화>가 신선한 경세담(警世談)으로서 주목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concerns the genre of , as folktales with ‘beggars’ are closely related to ‘good fortune’, and investigates the significance of each type of beggars. First, on the premise that two types are derived from alternative ways of making a fortune, beggars may be divided between the ‘beneficiary type’ blessed with good fortune and the ‘obliger type’ who brings others good luck. Beneficiary beggars, who have no clear goal of gaining wealth themselves, accidentally acquire wealth or rise in social status thanks to the people or situations around them. Thus, meeting a noble man is an important opportunity for such windfalls. In other words, the point of the beneficiary type in is the role of beggars’ fate and coincidence in developing the story. On the other hand, obliger beggars are portrayed as extraordinary alien beings of exemplary character who inspire ordinary people or communicate with a transcendent being, which makes them sometimes seem more like saviors blessing others.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completely reverses the existing perception that beggars are isolated from wealth by dissolving the distiction of superiority and inferiority between wealth and poverty. In short, the ordinary poor people of the time identified themselves with beggars and as a result, they projected their own expectations about windfalls or potential fate on the beggars through the beneficiary type in . On the other hand, the obliger type in shows the self-purification of the people through their reflective introspection on the social convention of treating poor beggars as different beings and despising and excluding them. Therefore, through these discussions about , we can ruminate on our views of the disadvantaged people we represent as beggars, and by doing so, may be expected to awaken and draw the attention of people in our modern society divided by social alienation of a variety of forms.

목차

1. 서론
2. <거지 발복설화>의 유형
3. <거지 발복설화>의 의미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이랑(Im, Lee Lang). (2018).<거지 발복(發福)설화>의 유형과 의미. 구비문학연구, 50 , 219-262

MLA

임이랑(Im, Lee Lang). "<거지 발복(發福)설화>의 유형과 의미." 구비문학연구, 50.(2018): 219-2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