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무형문화재 ‘구전전통 및 표현’ 종목으로서의 설화연구 가능성 모색

이용수 113

영문명
A Study of Folklore as an Intangible Heritage Model and Oral Tradition and Expression -Focusing on the Intangible Heritage City Project of the Year-
발행기관
한국구비문학회
저자명
이정훈(Lee, Jung Hoon)
간행물 정보
『구비문학연구』제50집, 197~21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62년 문화재보호법이 제정된 이후로, 60여년이 흐른 뒤에 개정된 무형문화재 보호법은 무형문화를 바라보는 시각에 지각변동을 의미한다. 특히 ‘구전전통 및 표현’항목은 1962년 구법의 카테고리로 설명할 수 없는 신생영역이다. 본고는 국립무형유산원에서 진행한 ‘올해의 무형유산도시 사업’의 결과물을 대상으로, ‘구전전통 및 표현’항목의 방향성을 가늠하기 위한 글이다. 올해의 무형유산도시 사업은 개정된 신법에 맞춰 조사를 진행했던 초기 모델로서 가치를 지닌다. 이 사업에서 조사된 ‘구전전통 및 표현’항목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된다. 첫째는 장소나 인물전설군, 둘째는 이야기꾼 발굴, 셋째는 민요군이다. 2014년부터 4년 동안 축적된 ‘구전전통 및 표현’ 결과물은 대부분 설화조사에 집중되어 있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것처럼, 신법체재 안에서 ‘구전 전통 및 표현’항목은 유네스코협약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설화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구전전통 및 표현’항목의 영역과 특징, 사회문화적 기능 등을 본격적으로 논의해야 할 신생항목이 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이런 점은 신법에 편입된 전통지식이나 의식주 생활관습 등의 영역도 동일한 상황이다. 1960년대에 만들어진 문화재법이 이뤄 놓은 성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며 신법 체제 하에서 무엇을 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필요하다. 본고는 올해의 무형유산도시 사업에 참여했던 경험을 토대로, 설화가 무형유산이라는 전제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과 적용범위, 파생되는 문제점을 광범위하게 제시하고있다. 그리고 이와 함께 ‘구전전통 및 표현’항목이 신생이라는 점을 확인하며 본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무엇보다 이것을 위해 학술적 담론의 장이 필요하며 무형유산의 공동체성과 이야기유산의 상호성을 고찰하기 위해서 설화 전수조사를 실시해야 한다. 현재 도시전승설화도 보고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설화가 견본조사로 그치는 경우가 많다. 설화와 이야기판의 현장적인 접근을 위해 문화인류학적 현지조사를 시도해 보는 것도 필요하다. 이와 함께 ‘구전 전통 및 표현’의 외연을 확대할 수 있는 조사를 본격적으로 시행하여, ‘구술’과 ‘전승’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새로운 무형유산을 개척하는 것이 남겨진 숙제다.

영문 초록

Korea enacted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 in 1962 and amended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 in 2015. This is a major change in the last 60 years. In particular, Oral Tradition and Expression is a new field not included in pre-1962 law.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the items of oral tradition and expression as shown in the results of the Intangible Heritage City Project of the Year conducted by the National ICHD. This year s intangible heritage city project was the first model of how to conduct the survey in accordance with the revised new law. In this year s intangible heritage city project, there are three categories of oral tradition and expression items. The first is a legend of a place or person, the second is a storyteller discovery, and the third is a folk so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possible because of the a premise that oral tradition and expression includes folktales. However, as mentioned earlier, the fact that the item of oral tradition and expression item in the new version of the law is not only a story i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UNESCO Convention. Moreover, the scope and characteristics of items of oral tradition and expression and socio-cultural functions are new issues that must be discussed in earnest. This is also true of the traditional knowledge to which the new law applies, customs of daily life embodied in food and shelter, and cultural spaces. It is now necessary to actively discuss what to do under the new legal system and, objectively evaluate the accomplishments of the Cultural Properties Act of 1960. Based o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intangible heritage city project of the year, this paper presents the case of studying folk tales as intangible heritage. It emphasizes the need to review prior research and implement effective legisl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intangible heritage community and the reciprocal nature of storytelling, we should conduct a survey of storytelling. Currently, urban folk tales are reported, but most folk tales are often sampled. It is also necessary to conduct cultural anthropological field studies to approach narratives in the field.

목차

1. 구전전통 및 표현의 등장과 무형문화재
2. 무형문화재로서 설화에 관한 선행연구
3. ‘올해의 무형유산도시’ 사업을 통한 무형유산 발굴
4. 전통지식, 공간성, 지역적 정체성을 결합한 설화 선정과 채록 : 전주시
5. 무형문화재로서의 설화조사 방법론 : ‘구술’+‘전승’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훈(Lee, Jung Hoon). (2018).무형문화재 ‘구전전통 및 표현’ 종목으로서의 설화연구 가능성 모색. 구비문학연구, 50 , 197-218

MLA

이정훈(Lee, Jung Hoon). "무형문화재 ‘구전전통 및 표현’ 종목으로서의 설화연구 가능성 모색." 구비문학연구, 50.(2018): 197-2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