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삼국유사 「아도기라」조의 아도의 형상화 방식과 의미

이용수 101

영문명
A study of the Image of Ado(阿道) in the 「Adokira(阿道基羅)」 Section of the Samguk Yusa(三國遺事)
발행기관
한국구비문학회
저자명
박성혜(Park, Seong Hye)
간행물 정보
『구비문학연구』제50집, 93~128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삼국유사 흥법편 「아도기라」조의 신화적 성격을 규명하는 데 있다. 그간 「아도기라」조는 신라 불교의 초전자(初傳者)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어 역사적 사실을 두고 역사학계에서 활발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아도기라」조는 설화적으로 재구성된 기사이기 때문에 역사적 사실 판단에 앞서 ‘「아도기라」조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왜 그렇게 형성되었는지’와 같은 텍스트의 내적 연구가 긴요하다. 「아도기라」조는 <아도본비>라는 비석을 인용하고 있는데, 여기에서 형상화된 아도의 어머니 고도령은 신라와 가야 지역에서 전승되던 성모(聖母) 신화의 대모신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아도는 그에게 닥친 위기를 조력자의 도움 없이 스스로 극복한다. 특별히 아도가 스스로 무덤을 만들고 들어가는 <아도본비>의 결말은 불교 설화의 ‘칠엽굴’을 상기시키며, 부처의 전생담인 자카타(Jākata)에 나타난 굴의 속성과 유사하다. 따라서 아도가 스스로 죽음을 선택한다는 것은 전불시대부터 예견된 신라의 불교 전파를 몸소 실현할 뿐만 아니라, 신화적 인물의 죽음을 통해 불교가 새롭게 시작되는 기원 신화의 의미도 갖게 된다. 일연은 <아도본비>를 인용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석담시전」을 끌어와 신라 불교의 초전 시기를 조정한다. 그의 이러한 조정은 신라에 불교를 최초로 전한 아도가, 신라 최초의 불사인 흥륜사에서 가장 처음으로 신라에 불교를 전했다고 하는 내용을 구성한다. 「아도기라」조는 첫 인물, 첫 공간, 첫 시간이라는 각각의 상징을 집약시키며, 신라 불교의 초전에 대한 형상화를 마무리한다. 「아도기라」조는 앞서 살펴본 텍스트 내부의 특징 외에도, 삼국유사의 흥법편 서두에 배치되어 있는 점, 고승전과 비교하였을 때 고대 신화의 신화소를 간직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였을 때, 불교 전파의 기원에 대한 신화로 구성되었을 것이라는 본고의 추론이 강화될 여지를 준다. 신라 불교 기원 신화로서 「아도기라」조는 신성한 역사를 구성한다. 그리고 구성된 역사는 서사라는 형식을 통해 설명되고, 신화의 속성 상 아도의 행적은 향유자들에게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졌을 것이다. 일연의 이 작업은 불교사의 첫머리에 ‘신이’한 행적을 기술한 것으로 흥법편과 기이편이 ‘신이’라는 동일한 키워드를 근간으로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Adokira section of the Heungbeob(興法) chapter of the Samguk Yusa. This section concerns Ado, who introduced Silla to Buddhism.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ascertaining such historical facts as when Buddhism was introduced and who introduced it. However, the section itself is composed of myths and folktales, so before discussing historical facts, we must first examine the text from a literary perspective. Adokira includes quotes from the inscription on the stele of Ado (‘Ado Bonbi‘), which depicts Ado‘s mother Godoryeong as being like the ‘Great Mother‘(Daemo) of the Sungmo myth that had previously been passed down in the Silla and Gaya regions. Ado is also depicted as having the ability to perform miracles, overcoming various crises without any help. The ending of the tale, in which Ado makes and steps into his own grave, is particularly reminiscent of the Buddhist folktale of the Saptaparni Cave. and his grave bears the same characteristics as caves mentioned in the Jataka(stories of the former lives of Buddha). By choosing to die, Ado personally brings about the propagation of Buddhism in Silla as foreseen before the time of Buddha. Moreover, his tale is also significant as the origin myth of a new start through the death of a mythical character. Ilyeon not only quotes the inscription on the stele of Ado, but he also lifts content from the Seokdamsijeon(釋曇始傳) to recreate the early period of the spread of Buddhism in Silla. In this recreation, Ado, the first messenger of Buddhism, first introduces Silla to Buddhism at Heungryunsa(興輪寺), the first Buddhist temple. In Adokira , harmony is achieved between man, space and time, and the section concludes with a literary portrayal of the beginning of the propagation of Silla Buddhism.

목차

1. 서 론
2. 아도의 신성한 출생과 성모 신화의 수용
3. 아도의 영험한 행적과 불교 설화의 수용
4. 상징의 집약과 기원 신화의 창출
5.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성혜(Park, Seong Hye). (2018).삼국유사 「아도기라」조의 아도의 형상화 방식과 의미. 구비문학연구, 50 , 93-128

MLA

박성혜(Park, Seong Hye). "삼국유사 「아도기라」조의 아도의 형상화 방식과 의미." 구비문학연구, 50.(2018): 93-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