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호남지방 점토대토기문화기의 묘지와 지역성

이용수 392

영문명
Burials and Regionality of the Jumtodae Pottery(Pottery with Clay Strips) Cultural Age in Honam Province
발행기관
한국대학박물관협회
저자명
이동희
간행물 정보
『고문화』제60집, 27~64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2.12.3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기존에 호남지방에서 접토대토기문화기의 墓制로 알려진 것은 적석목관묘(적석석관묘), 토광(목관)묘, 옹관묘, 주구묘 등이다. 그런데 이러한 묘제가 호남지방에 있어서 점토대토기문화기의 묘제를 모두 포괄하고 있지는 않다. 왜냐하면 점토대토기문화기에도 청동기시대의 묘제가 잔존하고 있어, 지역마다 그 양상이 상이하였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호남지방에 있어 점토대토기 유입기의 묘제의 양상과 그 변천, 그리고 지역성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호남지방의 점토대토기문화기 묘제를 유물상과 관련지어 보면 크게 4단계로 구분된다. 원형점토대토기 문화의 유입기(Ⅰ단계)에, 세형동검ㆍ조문경ㆍ흑도ㆍ원형점토대토기 등의 새로운 유물이 확인되고 있지만, 묘제는 청동기시대 이래의 묘제에 신묘제인 적석목관묘의 일부 속성이 가미된 적석석곽묘ㆍ석개토광묘, 지석묘 등이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적석석곽묘와 석개토광묘는 전북지역에서, 지석묘는 전남지역에서 확인되는데, 이는 청동기시대 묘제의 지역성이 그대로 계승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호남지방에서 원형점토대토기문화기의 초기에 호서지방의 대전 괴정동 적석목관묘와 같은 신묘제의 유입이 바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은 유물에서도 뒷받침되다싶이 요녕지방 등지에서의 유이민의 l차 도래지가 호서지방이 중심이었고, 호남지방은 그러한 문화의 2차적인 파급속에서 묘제에 부분적으로만 영향을 받았음을 의미한다. 현재까지의 자료로는, 호남지방에서 화순 대곡리와 같은 적석목관묘가 출현하는 것은 호서지방보다 늦은 기원전 3세기대에 이르러서이다(Ⅱ단계). 이후에 토광묘ㆍ주구묘ㆍ옹관묘 등이 나타난다. 다뉴조문경이 출토되는 Ⅰ단계를 요녕지방과 일정한 관련성을 가지면서 점토대토기문화가 파급되는 시기라고 한다면, 다뉴세문경이 확인되는 Ⅱ단계 이후는 점토대토기문화의 토착화가 진전되는 시기로 볼 수 있다. 호남지방에서도 전남지역은 새로운 문화의 영향이 더 늦었다고 판단된다. 전남지역에서 영산강유역의 전남서부지역에는 지석묘가 일부 지속되고는 있지만 상대적으로 이른 단계의 토광묘나 적석목관묘가 조사되고 있어 전남동부지역과도 차별성을 보인다. 현재까지의 조사성과로는 전남동부지역에 토광목관묘 이전의 적석목관묘 단계가 확인되지 않으며, 주구묘나 옹관묘도 조사된 바가 없어 지역적인 특색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전남동부지역이 산악지대이면서 문화 전파의 종착지였고, 청동기시대 이래의 지석묘가 장기적으로 사용되어 신묘제와 문화를 바로 수용하지 못하는 문화적 보수성에 기인할 것이다.

영문 초록

It has been known that pit-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piling, pit-wooden chamber tomb, jar coffin tomb and fosse-girded tomb were the chief burial systems of the Jumtodae pottery cultural age in Honam province. But in this thesis, I lay emphasis on the fact that these burial systems would not represent that of the Jumtodae pottery cultural age in Honam province. Because the burial systems of bronze age had been existed in the Jumtodae pottery cultural age and there were several differences among regions. According to the grave goods, the burial systems of the Jumtodae pottery cultural age could be devided into four stages. New artifacts, including slender daggers, burnished black pottery, pottery with round clay strips and so on, were found in the first period of the cultural age of the pottery with round clay strips, but there were stone-lined tombs with stone piling, dolmens, pit tombs with stone covers that has been the main burial systems of bronze age, espesially stone-lined tombs with stone piling, pit tombs with stone covers in Cheonpuk Province and dolmens in Cheonnam Province, influenced by the pit-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piling. It represent that the regionality of burial systems of bronze age had been existed in this period. The fact that the new type of burials like pit-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piling found at Koe-Jung dong, Taejon in Hoseo Province, was not found in the first period of the cultural age of the pottery with round clay strips in Honam Province could be represent that the main region of the first immigration of people from Chinese Liaoning Province was the Hoseo Province and Honarn Province was secondary influended by Hoseo Province, especially to their burial systems. The influence of new trend was late in Honam Province, especially in Cheonnam Province. The fact that there would be the relatively earlier pit-wooden chamber tomb, pit-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piling, even though dolmens was found in the western Cheonam Province in part, represent that the regionality of the western Cheonam Province of Yeongsan river valley was very different from that of the eastern Cheonam Province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the stage of the pit-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piling which was earlier than pit-wooden chamber tomb was not found in the eastern Cheonam Province, and the fosse-girded tomb, jar coffin tomb was not found neither. These regionality of this area represent that this area was the mountainous area and final destination of cultural diffusion. And because of their cultural conservativeness, they could not accept the new systems and other cultural aspects.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제묘제의 검토
Ⅲ. 단계의 설정
Ⅳ. 묘제의 지역성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동희. (2002).호남지방 점토대토기문화기의 묘지와 지역성. 고문화, 60 , 27-64

MLA

이동희. "호남지방 점토대토기문화기의 묘지와 지역성." 고문화, 60.(2002): 27-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