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홍우 지식교육론에 전제된 지식관의 성격과 그 한계에 대한 논의

이용수 538

영문명
A study on the knowledge perspective and limitations on the Lee Hongwoo’s theory of Knowledge-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교육원리학회
저자명
김종수(Kim, Jongsoo)
간행물 정보
『교육원리연구』제23권 제1호, 91~11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홍우 지식교육론은 학문 본위의 관점에서 학문(이론)적 가치 실현의 수단으로 ‘교육’을 개 념화한다. 이 때문에 이홍우 지식교육론에서는 ‘교육’에 관한 논의들이 학문(이론)적 교과를 가르치는 사태와 밀접히 관련되어 전개된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 전개의 연장선상에서 ‘인간 다움’ 등에 대한 호소에 터해 교과내용으로서의 학문(이론)적 지식에 대한 강조가 이루어지고 있기도 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홍우 지식교육론에 대한 올곧은 이해를 위해서는 이홍우 지식교육론에 전제된 지식에 대한 관점, 곧 지식관을 드러내고 이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하 여 그 한계를 밝히는 작업이 요구됨을 전제하고, 이를 토대로 이홍우 지식교육론에 전제된 지 식관의 성격과 그 한계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검토의 결과로 이홍우 지식 교육론에서는 절대적 진리와 이에 대한 인식의 가능성, 인식 주체의 객관적 인식 가능성과 이 에 터한 객관적 지식의 가능성, 지식의 언어적 표상 가능성, 이론과 실천의 이원론 및 학문(이 론)적 지식의 우위 주장과 거기서 더 나아가 학문(이론)적 지식에 대한 강요의 측면 등이 전 제되어 있음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지식 전반에 관하여 이홍우 지식교육론의 입장이 유일한 것은 아니라는 입장에서 이홍우 지식교육론이 전제하고 있는 이 상의 지식관의 제 측면들에 대한 반론 성격의 논의들을 고찰하는 방식으로 그 한계를 드러내 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In the Lee Hongwoo’s theory of knowledge education, ‘education’ follows a functionalist conceptualization method which is a means of realizing academic value through education. For this reason, Lee Hongwoo’s theory of knowledge-education itself is a discussion on ‘knowledge-education’ and discussions about academic(theoretical) knowledge, though not explicit, appear in the form of discussions about ‘education’. In addition, Lee Hongwoo’s theory of knowledge-education emphasizes various forms of academic(theoretical) knowledge through appeal to ‘humanity’. In this study, in order to get a good understanding of Lee Hongwoo’s theory of knowledge-education, it is required to reveal the perspective of knowledge that is based on Lee Hongwoo’s theory of knowledge-education and to clarify the limitation through critical review. Based on this, researcher tried to examine the perspective of knowledge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As a result of this review, Lee Hongwoo’s theory of knowledge-education including the possibility of absolute truth and perception of it, the possibility of object recognition of the subject of recognition and the possibility of objective knowledge, possibility of linguistic representation of knowledge, dualism between theory and practice, and claim on superiority of theoretical knowledge. In the view that the position of Lee Hongwoo’s theory of knowledge-education is not the only thing about knowledge in general, and to explore its limitations in a way that examines the controversial discussions on the aspects of knowledge.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이홍우 지식교육론에 전제된 지식관과 그 한계
Ⅲ. 나가는 말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종수(Kim, Jongsoo). (2018).이홍우 지식교육론에 전제된 지식관의 성격과 그 한계에 대한 논의. 교육원리연구, 23 (1), 91-116

MLA

김종수(Kim, Jongsoo). "이홍우 지식교육론에 전제된 지식관의 성격과 그 한계에 대한 논의." 교육원리연구, 23.1(2018): 91-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